#닥치고책쓰기 #황상열 #더로드출판사 #글쓰기 #도서협찬 #서평단한 권의 책이 독자에게 오기까지의 인연을 생각해본다.이 책의 주인은 본디 내가 아니었다가, 모종의 이유로 내 것이 되었던 것이다.책을 떠올릴 때마다 속표지 속 작가님 사인이 자연스레 연상될 것 같다.그렇게 이 책은 특별한 의미가 되었다."글을 쓰는 것은 생활의 리듬이지만 책을 내는 것은 삶 속에서 사건"이라는 영화평론가 정성일 님의 말('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책머리에 중에서)을 빌리면, 황상열 작가님은 삶 속에서 사건을 도대체 몃 번을 겪은 것인가. 단독 저자 11권, 공저자 8권.여전히 쓰고 있고 언젠가는 전업작가가 되어보겠다 말하는 저자. 책을 쓰기 전에 미리 알아두어야 할 것이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삶이 드라마틱하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고. 그럼에도 당신이 책을 써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작가가 꼽은 이유가 어떤 것이 있는지는 본문에서 확인하기로 하자.책을 읽다 새삼 달력을 헤아려본다. 4월 1일.거짓말처럼 1년의 4분의 1이 날아갔다. 올해가 가기 전에 출간을 하기로 마음 먹는다면 6월 상반기까지 주제와 컨셉을 잡고, 목차 구성 후 초고를 완성해야 한다. 7~8월에 퇴고하면서 출판사 컨택 후 9월쯤 계약하고, 나머지 기간은 출판사와 협의하면서 몇 번의 퇴고를 거친 후 출간까지 진행한다. 그게 가능한가 진지하게 의문을 품는 당신이 해야 할 단 한가지."제발 무슨 이유라도 좋으니 매일 조금씩 쓰자.작가의 기본 조건은 우선 쓰는 사람이니까."28쪽 중에서.동기부여되는 책. 잘 읽었어요.특별히 얻은 인싸이트 한가지를 꼽자면 "트렌드에 민감하라"는 것. 작가는 눈과 귀가 열린 사람이어야 하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