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로의 행복수업 - 영한대역
김영로 / 불광출판사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원서읽기는 아직 나에게 멀게만 느껴진다. 오르지 않는 토익 점수, 여지껏 해왔던 공부 방법에 회의를 느껴 수많은 수험서를 처분하고 원서(중단편)와 오디오북으로 공부한지가 어느덧 1년이 되었다. 그래도 아직 자신이 없는 것은 사실, 평범한 원서도 힘든데 철학서에 가까운 책을 잘 소화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다.
'김영로의 행복수업'에 나오는 단어들은 그리 어렵지 않다. 고등학교를 이수했다면 무난하게 해석 가능하지만 교과서에서 배운 주어+목적어+서술어의 형태를 반드시 지키지 않고, 노래 가사처럼 주어가 없는 문장이 많기 때문에 자연스런 해석이 다소 어렵다. 이 점은 국어 능력이 보통 이상이어야 한다.
어투는 내면에서 자연스럽게 깨닫고, 세상을 향해 조용하게, 그러나 시원스럽게 뿜어내는 인상을 준다. 답답한 제도와 속세에서 중요한 가치를 깨닫지 못하다가 드넓은 자연으로 나와 호소하는 말투가 귓가에 들리는 듯 하다. 삶이란 누가 일일이 코치하는게 아닌, 시행착오로 조금씩 중요한 가치를 깨달아가고 통찰력을 얻어야 한다는 주장, 나는 몇 분의 1을 왔을까. 속세를 윤회하는데 그치지 않고 죽어서 더 높은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물질만능주의에 물든 오늘의 한국에 호소하는 소리같지만 일단 이 답답한 제도와 관습에서 벗어나는게 숨 쉴틈없이 들어서 있는 빌딩 사이를 요리조리 지나가는 것만큼이나 힘들지 않을까.
이 책에서 강조하는 '무지'란 무엇일까. 단지 피상적인 지식이나 상식을 모르는 것이 아니라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를 모르는 것, 즉, 지혜와 통찰이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아무리 고학력자라도 본질을 꿰뚫지 못하고 삶에서 중요한 가치를 실천하지 못하면 그게 무지란 뜻이다. 정신적 가치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누구든 알고 있지만 실천이 어렵다.
나는 불교에 관한 지식이 거의 없어서 이해하기가 어려웠지만 깨달음에 관해 알고 싶은 사람은 이 책을 접해보는 것도 좋다. 또 소설이 너무 만연체가 많이 나와 어려웠다면 이 책이 딱 맞을 듯 싶다.
(덧 : 나는 여기서 말하는 '불광'이 불광동에 있어서 불광출판사인줄 알았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