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공부를 위해 필요한 101가지 철학 개념
켈리 제임스 클락 외 지음, 김지호 옮김 / 도서출판100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이 조금 더 가까이 내게로 왔다

 

  책 제목 앞에 있는 신학 공부를 위해 필요한이 작은 글씨 때문에 일반 평신도들이 선뜻 이 책을 읽어보려고 용기 내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았다. 예상처럼 읽기 쉬운 책은 결코 아니였다.

하지만 지금 내가 믿고 있는 신앙의 근간이 여러 철학적 사고와 사상들이 역사적 흐름 속에서 탄생과 소멸을 거듭 반복하며 수많은 논쟁과 토론 그리고 질문을 통하여 여기까지 형성되었다는 사실에 놀라웠다. 또한 하나님과 세상과 사람을 향한 묵직한 질문들과 나름대로 찾았던 대답들 그리고 다시 생기는 의문들과 논쟁 속에서 스스로 생각하며 묵상하고 있는 내 모습을 발견하였다.

  이런 과정 때문에 철학이 필요한가보다. 힘이 그냥 길러지는 법이 없는 것처럼 생각하는 힘 역시 어려운 질문을 뚫고 여러 대답들을 숙고하면서 어느 것이 더 맞는지 아닌지 아니면 다른 답을 스스로 찾아보는 노력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리라.

 

신학자에게 한 번도 신뢰받지 못한 채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철학은 없으며, 논리 실증주의도 예외가 아니다”(p105)

  위의 언급처럼 이 책은 신학과 관련된 철학뿐만 아니라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논리 실증주의를 포함하여 웬만한 철학 개념과 철학자까지 개관하고 있다. 기본적 정의와 탄생 배경, 발전 과정과 한계점들을 요약하고 주요 관련 용어들도 첨가하고 있다.

  신학자나 목회자, 신학생들은 이 책이 유용할 것이다. 두꺼운 다른 철학서들을 일일이 읽기가 부담스럽다면 이 책을 통해서 기본적인 개념을 숙지하고 난 뒤 깊은 공부가 필요한 책을 찾아서 읽는데 좋은 길잡이가 될 것 같다.

  평신도의 경우 특별한 동기가 없다면 읽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들도 많고 요약 설명한 부분이 많아서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그럼에도 매일 50페이지 두 시간씩 투자하여 인내를 가지고 읽으면 일주일 동안 읽을 수 있다고 본다. 기본적인 용어들도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어서 먼저 궁금한 개념부터 찾아 읽어도 도움이 된다.

  신앙 서적을 읽다보면 철학 용어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일일이 찾아보기보다 넘기기 일쑤였다. 얼마 전에 데칼로그책을 읽다가 신플라톤주의라는 단어를 보았는데 대충 읽고 넘어갔다. 이 책에서 그 개념을 발견했을 때 왠지 반가웠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는데 기본 개념을 이미 알고 있거나, 혹은 찾아보는 노력을 조금만 더 기울인다면 그 풍성함이 몇 배가 되지 않을까?

 

  막연히 읽어보라고 말할 수 없는 책이다. 시간을 내야하고 의지를 가져야한다. 그만큼 많이 남는다. 강렬한 독서 경험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