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디토리얼 라이팅 - 생각을 완성하는 글쓰기 ㅣ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111
이연대 지음 / 스리체어스 / 2025년 4월
평점 :

<에디토리얼 라이팅>(이 연대, bkjn, 2025>은 독자에게 읽히는 문장력과 기획력을 연마하는 방법을 소개한 책이다. ' 기획, 주제, 독자, 문장, 조사, 퇴고 등 글쓰기의 전 과정을 13개의 키워드로 나누어 설명한다. 각 과정에 맞는 다양한 사례와 예시가 제공되고 왜 그것이 적절한지 어떻게 적용할지 알려준다. 저자 이연대는 선별된 정보와 해석이 담긴 북저널리즘 플랫폼을 만들어 165권의 책을 발행한 편집자이다. 자신의 경험과 노하우를 체계적인 구성과 잘 조직된 문단 형태로 정갈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가 새롭게 정의한 개념이 곧 생각의 층위이고, 문장의 뼈대를 이루며, 글쓰기를 관통하는 안목으로 다가온다.
"글쓰기를 흔히 건축에 비유합니다. 목차 구성은 건축물의 뼈대를 세우는 일로 여겨집니다. 제 생각은 다릅니다. 목차 구성은 건축물의 도면을 그리고 터를 파고 골조를 올리는 데 그치지 않고 천장, 벽, 바닥 마감 공사와 가구 배치까지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입주할 사람은(글을 쓸 사람은) 설계된 평면 계획 내에서 (구성 내에서) 자유롭게 가구를 (문단을) 배치하는 겁니다. 목차는 상세할수록 좋습니다" p48
흔히 쉽게 지나치는 '목차'조차도 자기 관점에서 정의하고 어떻게 구성할지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목차 구성이 남다른 두 개의 책을 소개하고 각각 특징을 알려주면서 자신에게 맞는 것을 고르는 기준도 살짝 짚어준다. 다른 영역도 마찬가지다. 쓰기에 관한 한 얼마나 많은 고민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수많은 자료와 글을 분석하면서 자기만의 길을 만들어갔는지가 한눈에 보인다.
"나만의 관점을 가지려면 질문해야 합니다. 학습된 경험에서 나오는 유추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기본에서부터 추론하고 결론을 확인합니다. 변하지 않는 진실만 남을 때까지 상황을 계속 파고들어야 합니다. 데카르트의 말처럼 의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의심해서 결국 의심할 수 없는 진실만 남깁니다."p.45
그가 말하는 의심은 곧 글쓰기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저자만큼 철저할 수 있을까. 나는 독서 모임을 기획하고 잘 소개하는 글을 써야 하는 상황에 있다. 도움을 받고 싶어 읽기 시작했는데 방법론보다 저자의 글쓰기 태도를 곱씹게 된다. 질문하는 습관과 진실을 향해 계속 파고드는 집요함. 이 책도 쓰기에 대한 자신만의 질문들과 자기만의 답을 찾기 위한 끈질김을 확인한다. 조금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어쩌면 내가 글을 빨리 배우고 쉽게 잘 쓰려고만 했다는 반성도 하게 된다. 글을 쓸 때마다 책상 앞에 꽂아 놓고 두고두고 읽어볼 책이다. 13개 글쓰기 목차 중에 내가 제일 약한 챕터를 여러 번 보면서 내 글을 수정하면 도움이 클 것 같다.
*출판사제공 도서, 솔직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