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튼소리에 신경 쓰지 마라, 여기 과학이 있다 - 인류 앞에 놓인 피할 수 없는 도전에 대한 과학적 해답
루크 오닐 지음, 양병찬 옮김 / 초사흘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튼소리에 신경 쓰지 마라, 여기 과학이 있다>는 우리 삶과 밀접한 주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와 해답을 담아낸 과학교양서이다. '자유의지, 비만, 우울증, 성차별과 인종차별, 무의미한 직업, 기후 위기, 존엄한 죽음' 등 까다롭고 복잡한 이슈에 대해 상세하고 명료한 과학적 대답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인 '루크 오닐'은 아일랜드 출신의 세계적인 면역학자이자 교수이다. 그는 한 방송에서 청취자들이 궁금해하는 과학 질문에 전문가다운 견해를 이해 쉽고 유머있게 전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책을 통해 연구자로서의 탁월한 역량과 대중과 소통하려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무엇보다, 과학이 인류가 직면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숙고'를 하고 있는지 알게 된다. 수많은 실험과 데이터를 통해 실패와 시행착오를 딛고 다시 심사숙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각각의 주제마다 개념과 배경 지식, 그리고 간략한 역사와 흐름을 짚어주고 과학적 성과를 단계별로 알려준다. 물론 진행 중인 사안과 아직 해결하지 못한 부분도 언급하고 있다. 각 장의 말미에는 이슈에 대한 잠정적 결론을 요약해줌으로써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가장 인상적인 주제 중에 하나는 '인종 차별'에 관한 내용이다. 저자는 "모든 인간은 호모 사피엔스라는 단일 종에 속한다"며 인종에는 유전적 근거가 없다고 단언한다. 이어서 여전히 존재하는 인종 차별의 이유를 '외국인 혐오증'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낯설거나 이상한 집단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이나 증오"를 의미하며 그리스와 미국 등 여러 국가에 만연한 외국인 혐오 사례를 언급한다. 현상 분석에 이어 대안까지 제시하고 있다. 과학자가 제시하는 인종 차별 근절 방법은 무엇일까?


"인종 차별을 막을 한 가지 전략은 이민자들이 지역과 국가 경제에 얼마나 큰 도움을 주는지 일깨우는 것이다. 트럼프가 이슬람교도와 시리아인의 미국 입국을 금지하려고 했을 때, 사람들은 스티브 잡스의 아버지가 시리아 이민자였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아일랜드의 전 총리의 레오 바라드카르의 아버지는 인도 뭄바이 출신 이민자였다. 2000년 이후 미국의 노벨상 수상자의 85명 중 33명이 이민자다. (...) 전반적으로 이민자는 경제 성장의 핵심이다. 그들은 인력을 보충하고 산업을 성장시키며, 종종 뛰어난 자격과 업무 숙련도를 갖추었을 뿐 아니라 새로운 사업체를 설립하는 데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p.286-p.287)


책에서 제시된 이슈들은 모두 우리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현대를 살아가는 꼭 필요한 지식이다. 그러나 중요한 만큼 가짜뉴스도 많아 우리의 시야를 흐리게 하고 판단을 어렵게 만든다. 이 책만 꼼꼼히 읽어도 실험에 근거한 과학적 정보를 토대로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독자는 끌리는 주제부터 먼저 읽어봐도 좋다. 각 장을 구분하는 그림과 색감, 글귀는 주제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어 어떤 주제라도 읽고 싶어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