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비 딕 - 전면 개역판
허먼 멜빌 지음, 김석희 옮김 / 작가정신 / 2024년 4월
평점 :
<리어왕>, <폭풍의 언덕>과 함께 '영문학 3대 비극'으로 일컫는 허먼 멜빌의 <모비딕>!
짙은 파란 배경으로 향유고래 얼굴이 그려진 표지가 인상적이다. 벽돌책의 무게와 부담이 한결 가볍게 느껴진다. 물론 두께만큼 시간과 에너지를 들여야하지만 지도와 포경선 선체 구조, 등장인물 소개, 해제 등으로 작품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면서 읽을 수 있다.
1851년에 발표된 <모비딕>은 포악하기로 소문난 모비딕과 모비딕에게 한쪽 다리를 잃은 에이해브 선장의 비극적인 대립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어려운 가정 형펀으로 인해 19살에 화물선과 고래잡이배의 선원 생활을 했던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졌다. 19세기 미국의 상황과 모험같은 인생에 대한 상징이 가득하여 오늘날에도 수많은 철학자나 독서가 등에게 재해석되는 고전이다.
주인공 '이슈메일'은 선원이 되기 위해 맨하탄을 떠나 뉴베리퍼드에 도착한다. 여관에서 원주민인 작살잡이 퀴퀘드를 만나 친구가 된다. 그와 함께 ''피쿼드 호'라는 포경선에 오른다. 거친 인상에 의족을 착용한 에이해브 선장은 모비딕에 의해 한쪽 다리를 잃고 난 후 복수심과 증오로 모비딕을 쫓는다. 향해사들과 갈등 속에서 모비딕을 추적한 끝에 에이해브 선장은 마지막 사투를 벌이게 된다.
여기서 바다는 우리가 이겨나가야 하는 하는 삶으로, 고래는 예상하지 못한 시련, 파도와 바람은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대자연의 힘으로 상징된다. 인생의 향해 가운데 고래를 만나 치명적인 상처를 받고 시련에 빠질 수 있는 것이 우리의 삶이다. 에이해브 선장은 시련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복수를 선택한다. 선택의 결과는 모두 알다시피 비극이다. 다른 선택은 무엇일까.
시련 너머를 보는 것. 그 시작은 시련 자체가 고래 때문이라는 단순한 결론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닐까. 누구의 전적인 잘못과 실패 때문에 이 시련을 겪는다고 정확하게 말할 수 없다. 잘잘못만 따지다보면 시야가 좁아지기 마련이다. 사실 고래를 죽인다고 해도 사라진 다리가 다시 돌아오는 것도 아니라면 다른 선택을 고려해봐야한다. 시련 너머에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