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 - 국경선은 어떻게 삶과 운명, 정치와 경제를 결정짓는가
존 엘리지 지음, 이영래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5년 8월
평점 :
📌<도서지원 >
📚국경선은 어떻게 삶과 운명, 정치와 경계를 결정 짓는가!
📚기원전 이집트부터 21세기 우주전쟁까지, 어떻게든 선을 그으려고 애써온 역사!
📚존 엘리지 저자의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 는 국경과 경계를 향한 그의 집요한 탐구와 통찰이 담긴 책으로, 출간 즉시 아마존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수많은 독자의 찬사를 받은 작품으로, 놀라움과 흥미로 가득한 세계의 역사, 그리고 사람들이 지도에 그려온 선들을 통해 이야기한다. 인류의 역사와 정치, 문화, 갈등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흔히 우리가 무심코 넘기는 '경계' 에 대해 이야기한다. 경계란 무엇일까? 경계, 즉 국경선은 단순한 선으로 그어진게 아니다. 국셩선은 인간의 욕망과 두려움, 허영과 환상으로 압축된 선이다. 이 작품은 경계가 어떻게 삶과 운명, 정치와 경제를 결정짓는지를 이야기한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지도 위에 그어진 선들이 어떻게 전쟁을 일으켰는지, 어떻게 문명을 나누게 되는지, 어떻게 사람들의 삶을 바꾸었는지를 47가지 경계를 통해 우리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준다. 이 작품은 총 3장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고대세계에서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중요한 경계들을 다룬다. 2장에서는 현재까지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경을 이야기한다. 마지막 3장에서는 땅 위의 통제권을 나누는 문제와는 다른 유형의 경계, 즉 날짜와 시간대 사이의 시간적 경계, 바다나 상공의 경계, 끝으로 우주의 경계를 다룬다. 이 작품은 반복적으로 국가가 어떻게 형성되는가이다.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과 다른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서, 우리가 알고 있던 국가에 대해 새롭게 알게 해주는 작품이다.
🌍전 세계가 집착하는 경계의 본질을 다루고, 요동치는 국제 정세를 이해하기 쉽게 그려내어 지정학 필독서으로 평가받는 작품인 이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나열만 하는게 아니라, 경계를 통해 인간의 본성과 세계의 구조에 대해 이야기한다. 읽다보면 지도와 국경을 보는 나의 눈이 달라질 수도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는 말하는 경계는 단순한 선이 아니고, 역사와 권력, 인간의 욕망이 얽힌 결과물이라고 한다. 경계가 사람들을 나누기도 한다. 하지만 때로는 공존과 유연함의 상징이기도 한다. 벨기에와 네덜란드 국경에 위치한 '바를레' , 아프리카의 직선 국경선, 남미의 다리엔 갭, 독일의 비징겐 암 호흐라인, 그리고 한반도까지 ! 매우 흥미롭게 아주 인상깊게 남을 만한 세계사가 아닐까 생각해본다.인간의 본성과 세계 질서의 축소판! 경계! 경계는 우리가 만든 것. 하지만 그 안에는 욕망, 두려움, 권력, 허영, 환상이 담겨 있다. 국경선은 삶과 운명, 정치와 경제를 결정짓는 힘을 지니고 있다. 지도 위 선 하나가 전쟁을 일으키도 하고, 문명을 나누고, 사람들의 삶을 바꾸고 있으니 말이다. 한마디로 경계는 역사적 정치적 협상과 갈등의 흔적이자, 인간이 만든 가장 정교한 구조물인셈이다. 하지만 경계를 통해 우리는 국제 정세의 흐름과 갈등을 알 수 있고 , 경계를 통해 정 체성과 소속감, 타자화의 경계 넘기의 의미를 알 수 있다. 결국 경계는 렌즈처럼 세계사를 새롭게 볼 수 있는 선이다.
🌏하지만 경계는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영향을 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처럼 국경 분쟁이 생길 수도 있고, 관세와 무역장벽처럼 경제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국가 정체성과 문화적 소속감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게 바로 경계이다. 경계는 여전히 우리 삶을 규정하지만, 점점 더 복잡하고 다층적으로 변화하고 있는게 경계이다. 그런 변화의 흐름을 통찰력 있게 보여주는 작품이 바로 <47개의 경계로 본 세계사>이다. 우리가 경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넘어서야 하는지를 깊이 있게 잘 그려내고 있다. 국경선이라는 경계를 중심으로 세계사를 독창적으로 풀어냈고, 단순한 사건 나열이 아니라, 경계가 만들어낸 갈등과 공존의 이야기를 그려내어, 세계사를 어렵게 생각했던 사람들도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흥미롭고 상징적인 경계들을 소개하고, 지정학적, 문화적, 사회적 의미 등 읽는 재미와 깊이까지 동시에 경험할 수 있어서 국제 정세를 이해하는 데 아주 유용한 작품이다. 세계사를 공부하고 싶은 사람, 혹은 지정학, 문화, 인문학 등 경계를 통해 다시 세계를 바라보고 싶은 분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길! 지도 위에 그어진 선 하나가 얼마나 깊은 의미를 지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본 도서는 21세기북스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47개의경계로본세계사 #존엘리지 #세계사 #경계 #국경선 #신간 #역사 #지정학 #국경전쟁 #지정학필독서 #국제정세 #분열의역사 #도서리뷰 #도서추천 #책리뷰 #책추천 #도서지원 #21세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