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무엇을 타고나는가 - 유전과 환경, 그리고 경험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케빈 J. 미첼 지음, 이현숙 옮김 / 오픈도어북스 / 2025년 9월
평점 :
📌<도서지원>
📚뇌, 유전자, 그리고 나, 우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유전과 환경의 교차점에서 인간을 다시 묻다!
📚케빈 J. 미첼 저자 <우리는 무엇을 타고 나는가>!
💭탄생 이전부터 지금의 모습에 이르기까지! 한권으로 읽는 무한한 내면 세계의 지형도 ! <우리는 무엇을 타고 나는가>는 우리의 정체성이 어떻게 만들어지며, 어느 지점에 서 있는가를 밝히는 작품으로 , 유전과 환경, 그리고 인간의 본성과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를 다루는 뇌과학이다. 이 작품은 인간의 정체성과 행동을 형성하는 유전, 환경, 그리고 경험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신경유전학 기반의 교양 과학서이다. 인간의 성격, 지능, 성향은 유전과 환경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무작위성과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한다. ˝유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라는 것보다 개인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말하는 작품이다. 뇌의 구조와 기능이 어떻게 유전적 프로그램에 따라 어떻게 형성이 되는지를 설명하고, 뇌 가소성과 후성 유전학을 통해 환경이 뇌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이야기하는 뇌과학 안내서이다. 이 작품은 유전자를 넘어 서로 다른 형질을 타고나 각자의 환경에서 자라 온 다양한 형태의 본성을 수용하고 맞아들이는 자세도 설명한다. 이 작품은 복잡한 우리 내면 세계의 지형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는데, 전반부에서는 인간의 본성과 유전 연구의 기본 방법론, 뇌의 구조 및 기능 발달에 관한 신경과학적 기초와 환경 및 경험, 그리고 뇌 가소성을 다루고, 후반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성격 특성과 지각, 지능, 성별과 신경 발달 질환이라는 구체적인 영역을 설명한다. 이 작품은 우리 뇌의 성장과 발달에 오랜 논쟁을 유발해 온 본성과 양육의 영역 가운데 무엇이 더 큰 힘을 발휘하는지도 논의한다. 그리고 현대 유전학의 성과가 인간 사회에 남기는 윤리적, 철학적 함의도 함께 설명한다.
💭성격, 감각, 지능, 성별, 성적, 지향, 정신 질환 등 다양한 인간 특성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도 분석하고, ˝우리는 백지로 태어나지 않는다˝ 라는 과학적 근거로 이야기한다. 유전자 쇼핑, 인종과 집단에 대한 유전 적용 등 현대 유전학이 던지를 사회적 비판도 함께 들어 있어서, 과학적 깊이 뿐만 아니라 철학적 깊이도 함께 다루고 있는 작품이어서, 자기 이해와 인간 이해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뇌는 유전적 청사지에 따라 형성이 된다고 한다. 하지만 무작위적인 신경 발달과 환경적 영향이 개개인의 차이를 만들어낸다고 말한다.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개인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존중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우리는 얼마나 타고난 존재인지, 유전자가 우리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지, 아니면 가능성을 여는 열쇠인지, 혹은 인간의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 다루는 작품으로, 단순한 과학책이 아니라,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철학적 성찰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인간의 정체성과 행동을 결정짓는 요소가 무엇인가? 이 작품은 유전학과 신경과학의 관점에서, 우리가 타고난 것과 살아가며 형성되는 것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으로, 유전적 결정론을 넘어서, 유전자와 환경, 그리고 발달 과정에서의 무작위성이 어떻게 인간은 형성하는지를 잘 설명하는 작품이다. 한마디로 이 작품은 유전자는 운명의 설계도가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작품이다.유전자 편집, 우생학, 인종차별 등 현대 유전학이 불러오는 윤리적 문제도 다루는 이 작품은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인간의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저자의 입장이 잘 반영되어 있는 작품이다. 과학적 지식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연결하는 이 작품은 유전과 환경, 그리고 무작위성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싶은 사람, 인간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에게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작품이 아닐까 싶다. 신경유전학이라는 전문 분야를 다루기는 하지만,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명료하고 쉽게 이야기를 전달한다.
💭복잡한 유전자와 뇌 발달의 원리를 일상적인 예시와 함께 설명하여, 과학에 익숙하지 않은 분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과학책이다. 우리가 흔히 갖고 있는 질문이 있다. ˝나는 왜 이런 성격일까?˝ ˝지능은 타고나는 걸까˝ . 이 작품이 그런 작품이다. 이런 질문에 대해 과학적 근거와 철학적 성찰을 함께 설명하고, 자기 이해와 인간 이해애 관심 있는 사람에게 매우 유익하게 설명하는 작품이다. 본성와 양육의 이분법을 넘어서, 발달 과정에서의 무작위성이 인간의 다양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라는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기존의 사고방식에 도전하고, 새로운 시야를 열어주는 작품이다. 과학이 인간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해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는 이 작품은 단순한 과학책 보다, 자기 탐색의 도구가 되는 과학책이다.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싶은 분이거나, 과학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충분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니, 꼭 한번 읽어보길! 인간의 다양성과 가능성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하게 될 것이다.
👉본 도서는 오픈도어북스 출판사에서 도서와 원고료를 지원받았으나, 리뷰는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우리는무엇을타고나는가 #케빈J미첼 #뇌과학 #신간 #과학책 #심리학 #교양심리학 #유전학 #유전자 #과학도서추천 #도서리뷰 #북클럽 #원고료지원 #도서지원 #과학책추천 #과학책리뷰 #도서추천 #책리뷰 #책추천 #오픈도어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