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지지 않는다는 말
김연수 지음 / 마음의숲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해가 짧아져서 그런지 꽤나 씁쓸한 생각이 많았어요. 제가 사랑하는 것들은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걸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고, 심지어 무언가를 아끼고 좋아하는 제 마음조차 손 위의 모래처럼 움켜쥘 수 없다는 걸 알고나니, 여기까지 와서 떠오른 거지만 외로웠던 것 같습니다. 전 어쨌거나 부모님이 원하는 이상적인 삶은 살 수 없다는걸 애진작에 알았으니 평생 제 쪼대로 살아가는걸 결심했으나 사실 이 ‘쪼대로 살아가는 것‘에는 굉장히 큰 용기가 필요했던거죠. 부모님의 걱정에 미안해하면서도 어떻게든 받아치는 것, 결혼하는 미래만이 진실된 것이라고 믿는 초등학생의 눈을 비껴가기, 점점 달라지는 대화주제, 외부의 시선, 미래에 대한 불안, 불확실성, 외로움...
이런 삶에 대한 고민에서 지지않기 위해 작가가 선택한 방법은 ‘달리기‘입니다. 작년의 저였다면 ‘또 건강한 몸에는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는 식의 식상한 말이군‘하며 책을 덮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읽고보니 비슷한 경험이 떠올라 납득하지 않을 수 없었어요. 올해에 기쁜 일들이 많았지만 무엇이 가장 행복했냐고 묻는다면 전 아직도 올 여름 제주도의 실패한 여행이 떠오르거든요. 새별오름이라고 밑에서 봤을때는 야트막한 언덕처럼 보이는 오름이 있습니다. 저 정도면 금방 다녀올 수 있지, 하고 원피스를 입은 채로 호기롭게 올랐지만 오름 중턱부터는 인생샷이 아닌 생존을 고려해야 할 정도로 가팔라 크게 후회했었어요. 돌아가고 싶었으나 이제와서 뒤를 돌 수도 없고(뒤돌면 죽을 것 같아서...) 헛디디면 죽는다는 생각으로 로프를 잡는 손과 내딛는 발 한 걸음 한 걸음에 집중하다보니 다 내려오고 나서는 온몸이 아팠습니다. 그런데 그 순간이 너무 신기해서 아직까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어요. 빨리 이 지옥을 벗어나야 해, 하고 내려온 즉시 쉬지않고 차를 몰고 예약해 둔 갈치조림집을 운전해가는 내내 저는 계속 웃고 있었습니다. 이유는 없었고, 힘들어서 미쳤구나 싶었는데 작가는 그것이 삶이고, 삶에게 이겨낸 모습이라고 말했어요.
인간은 가만히 있으면 추락하는 존재이니 추락할 때쯤엔 다시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고, 추락하고, 다시 끌어올리고... 이런 반복되는 오르내림 속에서 추락하는대로 그냥 두지 않고 날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을 찾아 결코 삶에서
게 지지않는 것. 날 때부터 경쟁심이 강했던 저에게 지지 않는다는 말은 얼마나 달콤하던지요 ㅎㅎ 저는 어렸을 때부터 연필로 글을 쓰면 점점 글자가 아래로 내려가는 버릇이 있었습니다. 최근에 저는 꽤나 하향곡선을 그리며 글자를 쓰고 있었지만 타이밍 좋게 이 책을 읽었고, 이 책을 이해할 수 있을만한 좋은 경험을 한 덕분에 다시 제 궤도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했던 이런 모든 것들이 결국 제게 힘이 되어 돌아왔다는게 뿌듯하기까지 합니다. 앞으로도 저는 또 제 버릇을 이기지 못해 글자를 내려 쓰겠지만 그래도 지지않고 반듯하게 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그러다보면 멀리서 볼 땐 제법 괜찮을 모양새로 썼다고 느끼는 날도 오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자들의 눈부신 성과들을 최대한 많은 일반인들에게 알리고자 고군분투하는 작가의 노력이 옅보이는 책이었습니다. 물론 이 책 한 권만으도 과학적 법칙을 이해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흘러가는 시간, 커피잔을 들어올릴 때 내 손과 커피잔이 융합되지 않게 하는 원자의 저항, 이런 것들 하나하나가 물리학이라는 것을 알고보니 눈에 보이는 세상이 조금 더 넓어진 기분입니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 제주에 다녀왔는데 관광지 사이를 돌아다니다 보면 도로 한 켠에 4.3 기념관 또는 학살지라고 표시된 조그만 표지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 역시 풍경 좋은 곳만 다니고 싶은 마음에 찾아가 보지 않았으니 할 말은 없지만 눈이 쌓여 하얗게 덮인 가족들의 시신을 수건으로 닦아내며 찾아다니던 어린 인선의 어머니의 이야기를 보니 그 때 지나쳤던 표지판이 생각났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연한 것에서 의미를 찾고 반전을 이끌어내는 작가의 역량이 존경스럽습니다. 책을 읽다가 뭔가 깨닫는 지점이 생겨 처음부터 살펴보면 알게모르게 처음부터 복선이 있더라구요. 읽으면서 신선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랜만에 하는 독서입니다 ㅎㅎ
700여쪽이나 되는 책이라 천천히.. 읽고 있습니다.
코스모스는 우주에 관련된 책이지만 꼭 그것만을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쩔 땐 고대 철학자를, 어쩔 땐 역사를, 또는 신화와 예술 작품을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결국은 이 모든게 지구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니 <코스모스>라는 책 안에서 다루어지는 모양새가 어색해지도 않습니다.
1970년대에 쓰여진 책이라 현대와 간극이 있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2025년인 지금은 천왕성마저 탐사를 끝내고 무인 우주선이 태양계를 벗어났는데 이 책은 이제 막 금성을 탐험하였습니다. 지금 우리는 지구온난화를 실감하고 있지만 칼 세이건은 오히려 미래에 지구가 냉각화될 것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십년이면 강산이 변한다지만 그런 자연환경에 인간의 의지까지 개입되면 더더욱 예측할 수 없는게 미래인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