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의 비밀 문집 푸른숲 역사 동화 11
최나미 지음, 박세영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종대왕께서 처음 한글을 만들고자하였을때 수많은 신하들이 반대를 하였다고 하지요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반포된 후에도 오랫동안 한글은 한자보다 그 가치가 떨어지는 글이라 여겨졌고 한글로 된 글 또한 무시되거나 업신여겨지구요

현재에 이르러서는 한글의 우수성과 위대함을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조선시대에는 한자와 옛성인들, 고전이 유일하게 옳은 것이라 여겨졌던것 같습니다

그런 시대적 상황에서 신하들의 정치적싸움이 발생하고 그것을 중재하기위한 정조의 선택이었던 문체반정, 그 문체반정으로 인해 오랫동안 벌을 받았던 성균관 유생의 이야기가 이 책의 시작인데요

그 유생의 뜻을 이어가고자했던 또다른 유생 규원도 뜻을 이루지 못하고 좌절하게 됩니다
규원을 따라 성균관 유생이 된 규원의 조카 휘가 삼촌에게 일어난 일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책이라 추리를 하는 재미도 있는 데다가 문체반정이라는 잘 몰랐던 역사에 대해서도 생각해볼수 있는 책입니다

조금은 어려운 내용이기도 해서인지 권장연령이 11세이상이네요

지금의 우리로써는 왜 문체반정이 일어나고 그로인해 수많은 사람이 벌을 받아야했는지 이해하기 어려울수도 있지만 인터넷과 핸드폰의 발달로 신조어와 외계어들이 생기고 그것을 바로잡아야한다고 하는 것과 비슷한 이유가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말이나 글을 통해서도 그 사람의 생각이 나타나기 때문이지요

기존에 익숙하던 것에서 변화된 것은 낯설뿐만아니라 제대로 된 변화인지 알수 없기에 반감과 반대하는 사람들도 많을수밖에 없을텐데요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고 결정권자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더라도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끝까지 주장하는 것도 우리 아이들에게는 필요한 것 같습니다

물론 올바른 생각과 올바른 결정을 할수 있을 만큼 여러 의견에 귀기울일수도 있어야하구요
이 책을 읽고나면 아이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며 토론을 해볼수 있는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