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생전.옹고집전 - 고전문학 12
허인 엮음 / 금잔디(가정교육사) / 2001년 5월
평점 :
절판


박지원은 20대, 30대에 양반을 비판한 소설을 많이 썼다. 그 중 하나가 허생전이다. 이 것이 현실로도 가능한 일인 것 같기도 하다. 사실 원작이 박지원인걸 알기 전에는 이 것을 사실 이야기로도 믿었다. 믿는 정도가 50%였지만 정말로 사실 같았다. 1만냥으로 100만 냥이나 되는 100배나 되는 것을 벌었다니 믿기지가 않는다. 또 '역사학자 33인이 추천한 인물동화'를 읽기 전에는 이것이 양반을 비판한 책이라고는 믿을 수가 없었다. 이 책을 쓴 박지원은 소설 쓰는 것이 평생의 낙이었을것이다.

박제가가 북학의를 쩌냈다면 박지원은 열하 일기를 써냈다. 이 허생전 역시 북학파를 믿는 박지원의 마음을 읽었는지 끝에 청나라의 문물을 받아드리라고 말하고 있다. 아무래도 북학파의 영수 박지원이 청나라를 구경하고 난뒤에 더욱 북학에 대해서 찬성한 박지원이 조선의 풍습만 고집한 양반들이 싫어했을 것이다. 그에 맞서 싸운 박지원은 힘으로 싸운 것이 아니라 소설로 맞섰다. 힘이 없다고 해도 그 것은 잘한 일인 것 같다. 힘으로 싸우면 당연히 피를 흘리게 될 텐데 말이다. 하여튼 허생전은 재미있고 다시 한번 읽어볼수도 있을 것 같다. 고전문학에서 나온 책은 좋고 허생전은 더더욱 좋다.

옹고집전 역시 얘기를 하지 않았을 뿐이지 구두쇠인 옹고집이 겪은 이야기도   재미있다. 이 책을 꼭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명의 저울 - 푸른문고 13 미네르바의 올빼미 41
김경호 글, 신혜원 그림 / 푸른나무 / 199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이 책을 읽고 작은 것이지만 큰 깨달을 같은 것을 느꼈다. 그 것은 생명의 소중함 이다. 생명은 크다면 크다고 느낄수도 있겠지만 작다면 작다고 느낄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작은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 이유는 생명은 크다고 해서 크다고 느끼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잘 살고 행복함을 느꼈는 가에 따라, 보는 사람에 따라 보는 위치와 차원이 다른 것 같다.

이 작은 생명은 다 똑같은 생명을 가지고 있다. 사람도, 새도, 동물도 그렇지만 우리는 같은 생명이 살고 있는 이 지구를 오염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을 쓴 작가는 지구를 오염시키고 있는 것에 대한 비판을 책으로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하여튼 이 책은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책이고 사람들이 이 그대로 겪은 지는 모르겠지만 소중한 이야기를 몇개씩 모아 만든 생명이야기는 어렵지도 않고 오히려 재미 있는 더 읽고 싶은 책이다.

생명의 저울은 여기서 제목밑에 나오는 그림이고 생명의 저울이 꼭 인간을 심판하는 그림 같다. 이 생명의 저울이 수천만 아니 수십 억의 사람을 일깨우고 지구와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운다면 생명의 저울이 수 많은 생명을 사이 좋게 지내게 하는 소중한 물체로 떠오를 것이다. 하여튼 생명은 작고도 소중한 것이다. 그러니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고 행복하게 잘 살아가도록 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개소문 - 역사학자 33인이 추천한 역사 인물 동화 3
신현득 지음, 하일식 감수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보통사람은 연개소문에 대해 좀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4학년 올라가는 나는 만화로만 보았다. 처음에는 글로 되어있는 책이 지루하다고 할 만큼 싫고 이틀에 한권 읽을가 말까하는 평범한 어린이 었다. 그래도 조금씩 빨리 읽는 연습도 하고 책에도 흥미를 붙히니 글로된 책은 하루에 2권 읽을까 말까 하고 꽤두거운 책을 읽었다. 이렇게 글로 된 책을 읽고 나니 뿌듯하고 자랑스럽기도 하고 이런 변화가 신기했다. 그러다 보니 책읽는 것이 자연화 되고 도서관에도 평소보다 자주 들렀다. 거기서 조광조-역사학자 33인이 추천한 인물동화-라는 책을 읽었다. 역사와 인물에 흥미를 붙힌 나는 이 알라딘서점을 통해서 33인이 추천한 책을 많이 샀다. 거기에 바로 이 책이 있었다. 연개소문을 잘 알지 못하는 나에게는 신기하기도 하고 용감하기도 인물동화-라는 책을 읽었다. 역사와 인물에 흥미를 붙힌 나는 이 알라딘서점을 통해서 33인이 추천한 책을 많이 샀다. 거기에 바로 이 책이 있었다.
연개소문을 잘 알지 못하는 나에게는 신기하기도 하고 용감하기도한 연개소문이 우리 고구려 사람이라는 것을 알고 나니 우리 고구려와 대한민국이 자랑스러웠다. 어서 통일이 되면 북한에 있는 고구려의 유적, 유물과 벽화를 보며 고구려에 대해 잘 알수 있을 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광개토대왕의 후예처럼 용맹한 연개소문이 만주벌판을 말을 타고 달려가는 모습을 상상해가며 읽으면 좀더 뜻이 깊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권으로 풀어쓴 이야기 플루타크 영웅전
송명호 엮음, 청솔역사교육연구회 추천감수 / 청솔 / 1989년 12월
평점 :
품절


플루타크 영웅전 이름은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나는 읽어 보았는데 재미있었다. 송명호 엮음이고 515쪽이나 되는 책을 며칠간 붙들어 매고 읽기 시작했다. 도서관에서 한번 읽어 보았는데 그 때는 어렸을 때라서 이해를 잘 못했는 것 같다. 그래도 이 시저는 확실하게 기억했다. 시저는 카이사르를 미국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그렇지만 라틴어로 발음하면 카이사르 이다. 카이사르의 이름을 다 말하면 가이우스 율리우스 가이사르이다. 이탈리아의 몇몇 사람들은 카이사르라고 하지만 미국에서는 시저라고 말한다. 카이사르의 국가는 로마이고 현재 이탈리아다. 로마는 북쪽의 겔트족(갈리아인에 속한다, 현재 프랑스)에게 멸망당하고 만다.

플루타크 영웅전 안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대표적인 사람으로 알렉산더 대왕 시저 등이 있다. 지금 읽어 보니까 정말로 재미있다. 여기에 나오는 인물은 거의다 로마 사람이다. 그 이유는 포에니 전쟁(카르타고와 로마 전쟁 3차까지 이어졌음) 이후로 지중해 패권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알렉산더 대왕이 서쪽으로 진격했다면 로마는 멸망당했겠지만 동쪽으로 갔기 때문에 살수 있었다.

플루타크 영웅전을 읽고 난 후에는 로마에 대해 관심이 많아졌다. 그래서 로마인 이야기라는 책도 읽었고 재미있게 보았다. 그런데 그 로마인 이야기에서 꽤 으시시한 이야기를 들었다. 겔트족 이라는 종족은 위에서 들었을 것이다. 그 종족에서 가장 좋은 선물은 전투 때 적군의 머리를 베어 손님에게 보여주는 것이 가장 좋은 선물이었다고 한다. 이 것을 보고 겔트족은 야만적이고 싸움을 즐겨하는 종족이라고 할 수 있겠다.

플루타크 영웅전은 유럽에 대해 말한 것이고 나라보다는 개인위주로 설명했다고 해야 옳은 말일 것이다. 하여튼 포에니 전쟁 2와 3으로 로마가 지중해 패권과 유럽의 나라를 속국으로 만들고 멸망시켰다는 것도 과언이 아니다. 플루타크 영웅전이라는 책 제목이 왜 그렇게 불리어 졌는지 몰라서 컴퓨터에서 찾아보니 플루타르코스 라는 저자가 미국식으로 발음하면 그렇게 되어서 그 뒤에 영웅전을 붙혀서 그렇게 되었다고 한다.

알렉산더 대왕과 우리 광개토대왕이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정복도 많이했고 일찍 죽었고, 대왕이라는 호칭까지 붙었으니 말이다. 나는 그 두사람이 한번 붙어보았으면..하는 생각도 든다. 알렉산더 대왕이 인도까지 침범하였지만 거기에서 중국까지. 광개토 대왕은 만주벌판에서 중국으로 가서 붙어 보았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 광개토 대왕이 이겼으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지만 알렉산더 대왕도 호락호락하게 당하지는 않을 거란 생각이 든다. 알렉산더 대왕은 33세에 뜻하지 않게 열병으로 숨을 거두었다. 인도까지 갔을 때 알렉산더 대왕에게 마그누스라는 별명이 붙혀졌다. 마그누스는 위대하다는 뜻인데 그 당시는 알렉산더 대왕밖에 붙혀지지 않은 말이었다. 알렉산더 대왕이 죽자 마케도니아, 시리아, 이집트로 갈라졌다.

플루타크 영웅전에는 46명이 2명씩 조를 이루어서 나온다. 플루타크 영웅전에서도, 로마인 이야기에서도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의 대결이 제일 재미있다. 하지만 그 전에는 카이사르, 안토니우스, 크라수스 이 세명이 삼두정치(세명의 권력자가 동맹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것)를 펼쳤다. 그후 카이사르가 암살되고 수하인 안토니우스, 옥타비누스(카이사르의 양자), 레피두스 이렇게 셋이 2차 삼두정치를 펼쳤다. 하지만 곧 2차 삼두정치가 깨지고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누스가 승리하고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로써 공화정시대는 사라지고 제정(황제가 다스리는 것)으로 바뀌었다.

읽어본 사람의 마음에는 플루타크 영웅전에있던 영웅들의 높은 기상이 마음속에 지워지지 않을 만큼 깊은 여운을 남겼을 것이다. 로물루스가 처음으로 세우고 발전을 거듭한 로마는 플루타크 영웅전에 나오는 대부분의 영웅들을 키워낼수 있었고 우리에 기쁨을 줄수 있었다.

로마와 고대 나라는 거의 다 멸망 했지만 로마의 영웅들과 유럽의 훌륭하고 용감한 영웅들은 잊을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징비록 - 하서명작선 84 하서명작선 100
유성룡 지음 / 하서출판사 / 1999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어떻게 사게 되었냐면 골든벨에서 이 책이 나오길래 사 보았다. 일기이지만 난중일기(저자 이순신)보다는 지루하지 않았고 그 때의 일을 잘 알수 있는 것 같았다. 처음에는 지루하다고 느껴서 시간이 많이 걸렸지만 꼭 읽기를 작정하니까 차츰 재미있어졌는 것 같다. 지루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지루하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난중일기 보다는 덜 지루하다고 느낄 것이다.

명재상 유성룡답게 잘 썼는 것 같다. 이 것은 우리의 조금이나마 알수 있는 작은 역사가 될수도 있는 것 같고 우리나라가 겪었는 전쟁을 작은 교훈이나마 얻을 수 있는 것 같다.
이 전쟁과 일기는 조선 선조 때의 처참함을 잘 표현해 주는 것이고 미래의 우리 역사에 개시해주는 것과 같이 우리 가슴에 뼈속에 새기듯이 준비를 하면 좋겠다. 하찮은 일기로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주는 교훈과 우리의 작은 역사가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