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꾸로 읽는 세계사 - 전면개정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21년 10월
평점 :
거꾸로 읽는 세계사 – 세계사의 흐름에 변곡점이 되는 중요한 사건들
■ 정치인으로서는 호불호가 확실히 갈리는 그이지만, 작가로서의 유시민은 아주 매력적이다. 그래서 , 그의 책은 찾아 읽는 편이다. 최근엔 「유럽도시기행」 1,2를 읽은 기억이 난다. 일반적인 여행기가 아니라서 좋은 감흥으로 남아 있다. 이 책은 일반적인 역사를 담은 통사가 아니다. 세계역사에 있어서 변곡점이 될 만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작가의 기준으로 뽑아내서 기술한 책이다. 역사적 변곡점내지 터닝 포인트를 기술하다 보니 세계역사와 상관없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가질 수 있겠지만 놀랍게도 기술된 사건 사건하나만 읽어도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과 방향들을 인지할 수 있다. 내가 미처 몰랐던 부분들도 있고 동의하지 않는 부분들도 분명히 있다. 일반적인 역사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성인으로서는 꼭 읽어야 할 필수적인 교양서가 아닌가? 판단된다. 이러한 대단한 식견이 포함된 책을 1988년(29세)에 처음 출간했다고 하니 놀랍고 샘이 날 지경이다. 이 책은 처음 출간한 책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전면개정판으로 새로 펴낸 책이다.
■ 드레퓌스 사건 : 국가 권력이 한 개인을 파렴치한 간첩으로 몰아 버린 사건이다. 끝끝내 진실을 숨기려고 한 거대한 악의 힘들은 자기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았다. 진실은, 한 개인의 끝가지 자기가 저지르지 않은 일은 인정하지 않고 저항하며 죄가 없음의 주장을 포기하지 않는 의지와 에밀 졸라와 같은 양심적인 소수의 지식인들에 의해 밝혀지기 시작했다. 대혁명의 나라 프랑스에서도 이런 일이 발생하다니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결과가 뒤바뀐 몇몇의 재심 사건들이 떠오른다. 드레퓌스 사건은 그가 유대인이었다는 점에 상당한 의의가 있다. 그래서 , 누명을 벗기 위해 더 지난한 싸움을 했던 것으로 작가는 기술했다. 진실을 왜곡하고 숨기는 이런 억울한 옥살이는 우리나라건, 다른 나라건 이 지구상에는 다시는 일어나지 않아야 할 폐습이다. 우리 시민들은 정신 차려 세상을 주시 할 책임이 있다.
■ 사라예보 사건 : 1차 세계대전의 불씨, 그러나 불씨가 없었어도 전쟁은 일어났을 것이다.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 제국주의의 상황을 잘 설명해 놓았다.
■ 대공황 : 완벽하지 않은 자유방임주의 경제철학, 더불어 잘살기 위해서는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된다. 어는 정도 공공의 영역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입증된 사건이다. 민간과 공공이 적절한 황금비율로 성장해야 모두가 잘사는 유토피아가 될 수 있다. 다만, 인간은 아직 그 황금비율을 모를 뿐이라는 안타까운 사실.
■ 대장정 : 중국이 어떻게 공산화 되었는지를 잘 설명해주는 사건이다. 중요한 것은 민심을 잃으면 나라도 잃는다는 교훈이다. 화력과 병력 숫자에서 압도적이었던 장제스의 군대가 홍군에 패배한 원인이 민심을 잘 헤아리지 못했다는 점이다. 민심을 얻으면 백전백승하는 논리는 만고의 변함없는 진리라고 생각한다. 민심은 생물이다. 살아있다. 늘 틀에 박혀 있지 않기에 조금이라도 소홀히 하면 금방 멀어진다는 사실 기억해야 할 것이다.
■ 팔레스타인 : 중동의 화약고라 불린다. 그 화약고를 누가 만들었는지 알 수 있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탄생비화를 읽다 보면 제국주의의 폐해를 단편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정말 지들 마음대로 나라를 없애고 가르고 나눠 가졌다. 욕밖에 나오지 않는다. 몇 천 년 지난 후에 거기가 내 땅이라고 우기면 내 땅이 되는가?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처사다. 그렇게 따지면 전 세계는 매일 싸움을 멈출 날이 없겠지?
■ 베트남 : 결코 호락호락 얕잡아 봐서는 안 되는 민족이다. 호치민이라는 걸출한 사람이 지금의 베트남의 토대를 만들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맬컴 엑스 : 마틴 루서 킹 목사와 대비되는 비주류의 흑인 민권운동가.
■ 독일 통일과 소련의 해체 : 고르바초프에게 스르륵 다가온 권력, 독일 통일과 러시아 연방 해체의 기폭제가 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역사의 아이러니.
■ 에필로그 : 알 수 없는 미래
변곡점이 된 중요한 사건들에 대해 다 논하지 못했다. 나머지는 이 책을 읽는 또 다른 독자들의 몫으로 남겨두려 한다. 세계역사에 관심이 있고 미래를 예측하고자 하는 자에게는 꼭 읽어야 할 필독서라 추천하고 싶다. 판단은 각자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