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스케일 - 앞으로 100년을 지배할 탈규모의 경제학
헤먼트 타네자 외 지음, 김태훈 옮김 / 청림출판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 관해서 너무 많은 책들이 나와서 그런지 이젠 별로 놀랍지도 않다. 인공지능은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국 사건으로 너무 쉬운 개념이 되어 버렸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증강현실, 자율주행 등등 잘 모르는 것 같으면서도 다 아는 것 같고 그러면서도 어는 순간 바로 우리 앞에 팍 와있다. 숨이 턱 막힌다.

.

.

대한민국은 아직 타다가 되느니 마느니 카카오T가 되느니 마느니 하며 힘 다 빼고, 시대에 역행하는 혼란을 겪고 있다. 2002년 한창 월드컵에 빠져있을 때에 미국의 한 대학의 기숙사 방에서는 페이스북이 탄생했다. 그런 탄탄한 생태계를 가진 그 나라가 부럽다.

.

.

이 책은 그런 탄탄한 생태계에서 성장해서 유명 창업투자사의 대표를 맡고 있는 자가 집필한 책이다. 지금까지 산업은 규모화를 먼저 이루는 자가 이기는 게임이었다면 이제부터는 탈규모화가 지구촌 곳곳을 파고들고 궁극에는 승리한다는 주장을 설파 한다.

.

.

[책 서두에서 인용] 마침내 기술이 인간에게 맞추는 시대

지금의 기술혁명이 마무리되면

세상은 거의 알아볼 수 없게 변해 있을 것이다.

우리는 특별한 시대의 초입에 들어와 있으며,

그 일부가 될 것이다.

.

.

[책을 나름 관점에서 요약]

규모를 깨는 탈규모화의 시작엔 플랫폼이 있다. 자동화된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쓰는 우리의 소비는 각자에 기호에 맞는 상품을 만들어 방문앞까지 가져다 주는 시대로 변화고 있고 상당히 가까이 와 있다. 쿠팡의 로켓배송에서 컬리의 새벽배송까지 말이다.

.

.

인공지능은 이제 인간을 뛰어 넘을 만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인공지능을 제한할 수 있는 윤리적 마지노선, 기준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어디까지나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할 수 있게 말이다.

.

.

직업이 줄어들고 일거리가 줄어드는 세상이 되다 보니 모든 국민에게 기본소득을 주는 프로젝트가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의 세상은 상당한 부분을 기계들이 알아서 다 하나 보니 인간은 좀더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일들에 몰두해야 하고 나름의 존재의 이유를 찾을 수 있는 꺼리를 만들어야 한다. 좀 불쌍타 !

.

.

그동안 , 뒤도 돌아보지 않고 지구를 괴롭혔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재앙은 인간이 만든 것이다. 에너지 부분은 더욱 개인화 청정화 될 것이다. 에너지 자립이 더욱 개인적으로 될 것이다. 또한, 의료부분은 개인 맞춤에다 예방에 방점을 찍어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비용은 상당수 줄어 들 것이다. 인간의 수명은 더욱 연장 될 것이다. 계층에 따라 우수한 DNA를 소유한 이들이 더욱 오래살고 우수한 신체적 능력을 발휘할 .... 크악.... 이러기 전에 인간의 유전자를 이용한 연구에는 절대 변경 불가능한 바이블이 생겨나야 할 듯하다.

.

.

교육, 미디어, 금융에 이르기 까지 이러한 탈규모화의 진전은 이루어 질 것이라고 작가는 예측하며 지금 스타트 업된 기업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업에 투자하는 노하우를 알려준다. 나도 따라하고 싶다.

.

.

앞으로, 우리가 무엇을 해야하는지 이정표를 제시해 준다. 미래 100년의 삶이 이 책을 보다보면 어렴풋이 그려진다. 끔찍하기만 하지는 않지만 많은 부분 고민이 스멀스멀 몰려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