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을 방학
연소민 지음 / 열림원 / 2025년 7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여름방학이 쉼의 의미를 준다면 겨울방학은 마침, 마무리의 느낌이 있다.
반면에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가을방학은 잠깐 돌아보고 충전을 하는 짧은 기간이라는 느낌을 준다.
우리는 인생에서 이런저런 일들을 만나고 긴 과정에서 다양한 삶을 이루어간다.
때론 예기치않은 일들이 일어나고 그럴때 주저않아 일어서지 못할 때가 있고 누군가 도우며 살다가 누군가의 도움으로 수렁에서 빠져나오기도 한다.
특히 가족은 서로에게 깊은 유대감으로 묶여 있는 공동체이지만 때론 그 끈끈함이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연소민 작가의 [가을방학]은 어느날 갑자기 일어난 아빠의 가출과 이로인해 한순간에 무너져버린 엄마에 대한 이야기이다.
주인공은 무너진 엄마로부터 앙육되지 못하고 무너진 가정의 피해자로 묘사되다가 성인이 되면서 엄마의 딸에서 엄마의 엄마로 역할을 바꾸기로 한다.
엄마를 세우기 위한 제반 노력에 대해 작가는 가족의 집착과 의무를 꼬집고 있다.
홀로서기도 벅찬 청년이 가족이라는 이유로 엄마를 책임져야한다는 부담을 몇차례에 걸쳐 과하지 않게 언급하고 있다.
우울증에 빠진 엄마를 치료하기 위해 생계와 더불어 돌봄에 지친 주인공을 통해 가족에 국한된 의무를 재조명하고 있다.
엄마의 치료가 어느정도 이루어졌을때 딸의 의무는 집착으로 묘사되기 시작한다.
정상으로 회복하는 엄마에게 과거의 아픈 엄마에서 놓아주지 못하는 딸의 모습이 바로 그렇다.
소설에서는 엄마를 온전히 회복시키기 위해 가을방학을 이용하고 있다.
잠깐의 쉼과 다음을 위한 충전으로 엄마는 여행을 떠나고 딸은 비로소 집착에서 벗어나 엄마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주인공이 엄마를 돌보고 책임져야한다는 의무와 자신의 안전한 범주 안에 엄마를 가두려는 집착에서 벗어나는 계기도 가을방학이다.
고향에서 서로에게 상처를 줬던 일도 감추고픈 비밀도 결국 선한 영향력으로 치유되먼서 소설은 마무리된다.
여전히 엄마를 그리워하지만 엄마를 소유하지 않으려하는 여유로 마친다.
그리고 혼자서 외롭게 감당했던 엄마돌보기가 주변사람들에 의해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고 자신도 오랜 친구에게서 회복되는 경험을 그려내고 있다.
역시 방학은 친구와 신나게 놀고 고향을 찾아가야 제멋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