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더 편해지고 싶어서 : 거리를 두는 중입니다
슈테파니 슈탈 지음, 오지원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속에 내가 너무도 많은 나는 제법 많은 심리학 책을 가지고 있다. 결국 다 읽고 보면 내 안에 답이 있다. 알지만 실행하지 못해 번번히 실패하는것.

이 책은 성향을 나누고 사례를 들며 자라는 성장과정에서부터 만들어진 자아가 어떤 자극을 받고 형성되는가에 대한 이야길 하고있다.

저자는 '그림자 아이'라고 명하는 내 안에 있는 또다른 나를 들여다 보며 그 아이를 중심으로 이뤄진 환경들을 3자의 입장으로 바라보며 평가한다.


자립에 관한 파트에선 이 자아가 형성될 때를 단계로 나누며 너무 이른 시기에 빨리 만들어진건 아닌지 그로 인해 지금의 '나'는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이야기한다.

부모가 얼마나 그 욕구(자율성에 대한)를 채워주었는지에서부터 시작하여 형성 뿐만 아니라 부모가 얼마나 본보기가 되어 주었는지, 자립 욕구이지만 분노를 다루는 관점에서도 부모의 역할과 감정의 정체성 찾기에 올바른 방향 제시가 이뤄졌는지를 찾아보라 한다.


우리가 자기소개서(라고 쓰고 자기소설 이라고 우스개소리로 말하는)를 적을때 가정환경에서 단골로 나오는 '늘 나를 지지해주시는 부모님과 많은걸 가르쳐 주려하신 것에 감사하고 용기를 주셨다.'라고 하는 이 긍정적인 특성. 모두가 아는 내용이다. 남에게 포장하여 예쁘게 보이려하는 이 문장이야말로 자립성과 자율성을 키우는 시작점인 것이다. 사례로 주어진 로버트라는 인물의 예로는 '엄마는 나를 지나치게 사랑했고, 늘 곁에 있길 바랬으며... ... 아빠는 늘 자신의 일만하고 자신에게 온 신경을 집중하는 이기적인 사람이었어요.' 라고 적는 사람이 있긴 할까? 과연 이러한 초 사실주의 가정이 비단 로버트의 집안에서만 이뤄지는 구성원일까?

그만큼 인격체 형성에서부터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만큼 아이가 자라서 자아를 형성하고 타인과 함께하는 삶을 배워갈때 부모만큼 중요한 선행 인물은 없다는게 느껴졌다.


그 선행 인물이 되어주는 부모에 대한 관계를 좋게 하기위해서 이뤄지는 실수들. 애착관계 형성에서도 나타는 욕구에 대해 작가는 정도의 차이만 있지 누구나 그러하다고 다독인다. 처음에는 부모에게 관심받고 싶음에 시작되는 사건들이 시간이 흐를수록 나와 관계가 얽힌 타인에게(연인이나 동료, 이해관계자)로 범주가 넓어짐을 보여주며 그 속에서 마냥 착해빠진 '그림자 아이'를 찾아 빨리 꺼내라고 이야길 해준다.


이게 난가? 아... 내가 정말 이러고 있는건가 싶게 만들었던 165페이지의 착한사람 증후군.

이 증후군은 타인을 도와주며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 된다고 생각하며, 도움이 필요한 사람과 애착관계를 형성하는 일도 흔하다. 자신의 도움으로 타인이 극복해 나가는걸 보면 중요한 사람이라도 된 냥 망상을 한다는 것. 좋은 대접을 바라지만 상대는 잠깐의 관심만 기울이게 되는데 낮은 자존감에서 비롯되는 외부세계와 문제를 좋은 사람이 되어 해결하는 자신이 반짝이다고 생각한단 점이다.


착한 사람이며 완벽한 사람이 되어준다는 망상. 그게 나라는 인물이 아니었나 싶은 생각에 타인도 나를 바라볼때 그런건 아닐까 하는 싸한 기분 마저 들었다.

학창시절엔 박학다식하고 상냥하며 착한 친구로 기억되길 바라고, 그러지 못하면 자책하고 질투하는 나 하나도 제대로 다스리지 못하는 아이였다. 늘 과한 욕심이 화를 불러 심리적 불안도 있었고, 자신을 겨냥한 자책에 아프기도 했다. 결국 내가 나를 조금 놓아주면 되는데 그게 참 어려웠던 것.(아마 지금도 완벽히 놓아주진 못한거 같다.) 나를 느슨하게 풀어주면 욕심과 기대치가 낮아져 상처가 줄어들 텐데, 그게 어려우니 이 책을 빌어 또 한번 더 놓아주기 연습을 하는게 아닐까.

모든 사례는 익숙한 이야기들이었고, 부제가 되어주는 문장들은 이미 모두가 알 만한 내용이었다. 그래서 익숙해서 더 어렵겠지.

3장의 마음속 그림자 아이와 상처 보듬어주기가 지루해지는 중반에서 나를 자극시켜주었다. 아무래도 조금 더 편해지고 싶어서 거리를 두는 중이라면 타인을 탓하고 상황을 비난 하기 전에 과거의 나. 자아가 형성될 떄부터를 돌아보고 그떄부터 이뤄진 스스로의 강박과 쥐고있던 욕심의 끈을 좀 풀어봐도 되지 않을까 싶다.


모든 답은 알고 있으며, 치유의 방법도 변화해야될 부분도 안다. 그래서 당신에게 말하는게 아닐까. '내'가 다치지 않도록 '나'를 제발 다스려 주세요. 라고....

 

 

 

22p. 애착형성 욕구는 인간의 기본욕구로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사람들은 예나 지금이나 일생을 함께할 상대를 찾기 원하고, 그렇게 찾은 상대와 함께 나이들어가길 바랍니다.

40p. 우리에게는 자신에게 결여된 것을 상대에게서 찾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더 나은 반쪽'을 찾으려는 것이지요. 그러나 상대를 통해 자신의 부족한 점을 채우거나 개선하려는 이런 시도는 대부분 당사자도 의식하지 못한 채 내면의 아이가 상대를 찾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70p. 우리는 주변 사람에게 인정받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며, 거절당하는 경험을 했을 때는 부끄러움을 느낍니다.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거절에 대한 두려움은 애착욕구가 담당하는 일의 중심에 있는 가장 인간적인 동기입니다.

 

276p. "괜찮아. 우리는 괜찮을 거야. 작은 실수 하나쯤 할 수도 있지!"

335p. 자기에 대한 신뢰 없이는 남에 대한 신뢰도 없습니다. 어떤 상실애도, 어떤 상처에도 살아남을 것이라고 내가 나를 믿을 때에만 다른 사람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