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풀 랜드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조동섭 옮김 / 밝은세상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피처>의 작가로 잘 알려진 더글라스 케네디의 신작 장편소설 <원더풀랜드>가 출간되었다. .

워낙 좋은 소설을 많이 쓰신 작가님의 신작 소설이라 기대가 컸다
'원더풀 랜드'...제목에서 느껴지는 평화로움과 달리 첫 장부터 충격이었다.

'독립기념일에 불꽃놀이 대신 화형식이 열렸다.'

화형을 당하는 사람의 이름은 '막심 '레프코비츠'
이 소설의 화자 '샘 스텐글'의 친구이다.

대형 스크린에서는 막심의 화형식 장면이 생중계되고 있는 중이었다.
막심이 화형당한 이유는 공개적으로 예수님을 불경스럽게 언급했기 때문이다.

하..이런 나라가 미국이다.

이 소설은 2036년에 미국이 두 나라고 분단되는 섬뜩한? 설정으로 전개된다.
세계 최강국 미국이 분열하는 것인가?

우리 나라도 분단국가이기 때문에 미국의 분열이 남일 같이 느껴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 소설에 더 몰입할 수 있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든다.

세계에서 가장 강하고 부유한 나라이지만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살고 있는 나라이다 보니 갈등의 골도 깊었으리라.
수십 년 동안 끊이지 않았던 내부의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고 '연방공화국'과 '공화국연맹'으로 나뉘게 된다.

소설의 주인공 샘 스텐글은 연방공화국 정보국의 베테랑 요원으로 등장한다.

연방공화국은 민주당을 계승한 곳이며 국민에게 자유가 보장된다. 복지 증진과 행복을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지만 국미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마이크로칩을 머리에 칩을 생체에 이식해야 한다.

공화국 연맹은 공화당을 계승한 곳이다. 청교도적 신권 정치를 표방하는 곳으로 '자유'를 보장한다 하지만 잔인한 형벌을 가하고 여성과 소수자를 차별하는 것은 여전한 곳이다.

미국의 이런 상황은 마치 우리나라의 남한과 북한의 모습을 보는 것 같다.

연방공화국 정보국 특수 요원 '샘 스텐글'에게 새로운 명령이 떨어지는데 적국의 첩보원을 제거하라는 것이었다.
제거할 대상은 '케이틀린 스텐글'.
'샘 스텐글'의 이복자매이다.

서로 다른 체제에서 살게된 이들은 자매임에도 불구하고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누어야 한다.

작가는 미국사회의 미래의 역사를 그리고 있지만 전혀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다.
같은 동족에게 총부리를 겨눠야 하는 우리 민족의 현실을 들여다보면 말이다.

어느 체제가 옳고 그른지 판단할 수는 없지만 서로 자기 체제가 옿다고 믿는 그들은 끊임없이 갈등을 일으키며 싸운다.

한 치의 물러섬이 없는 두 체제의 싸움.
더글라스 케네디 작가님의 필력이 더해져 심장이 오그라드는 긴장감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었다.
서로에게 총을 겨누어야 했던 두 자매는 과연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가까운 미래의 미국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지만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을 콕 꼬집어 이야기하는 것 같다.

자유와 행복을 이루기 위해 나라가 갖추어야 하는 것들..
좋은 제도와 정책도 필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이고, 공감이고, 이해심이어야 한다.

대화를 통해 서로에게 조금씩 다가가는 자매의 모습을 보며 이 시대를 갈아가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언인지를 시사하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