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마이너스 2야 - 제21회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작 사계절 1318 문고 141
전앤 지음 / 사계절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까지 한 교실에 있던 애가 죽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나는 모르고 있었다."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며 나에게도 스며들었던 질문이다. 한 교실에 있던 애가 죽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지금 나는 학생이 아니며 학창 시절 교실에서 친구의 죽음을 겪은 적도 없다. 하지만 저 문장을 읽는데 최근 몇 년 사이 교실에서 친구의 죽음을 맞닥뜨려야 했을 많은 학생들, 선생님들이 지나가는 것 같았다. 정말 어찌해야 하는 것일까. 어떻게 애도하고, 어떻게 빈 자리를 잊지 않을 수 있는 것일까.


이 소설에서는 주인공 미주에게 죽은 세아가 나타나 말을 건다. 세아는 미주에게 자신에게 빌린 500원을 갚으라고 요구하는데, 아마도 500원의 의미를 이해할 때 세아도, 미주도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아, 나는 가제본 서평단으로 책의 앞 부분만 읽었다.)


제목에서 생각해볼 수 있듯이 이 책은 "마이너스"인 존재들을 주요 인물로 하고 있다. 주인공 미주는 백구십육만원을 부모님 몰래 써버린 이력이 있고, 이 빚을 갚기 위해 부모님 가게에서 노동을 한다. 그리고 세아에게 500원을 빚졌다. 


그런데 500원, 갚아야 하는 것일까? 갚아야 할만큼 큰 돈도 아닌데...

하지만 빚을 진다는 것에 있어서 작가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돈'이상인 것 같다.

누군가 내게 빌려줄 때 그 때에 오는 것은 '돈'(!)만이 아니다. 마음이 오고, 배려가 온다. 관계를 맺고 싶다는 소망이 오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는 정말 아무리 작은 돈도 공짜가 아닌 것이다.


이 이야기의 뒷부분을 읽지 않아 결말은 모르겠다. 하지만 '빚진 마음'에 대해서만은 중요하게 다가온다. 부자이면 친구가 생길까? 부자라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까? 어쩌면 자신이 누군가에게 마음을 빚지고 있다는 것을, 누군가의 돌봄과 배려를 빚진 존재라는 것을... 부자는 오히려 더 까먹기 쉬은 것은 아닐까.


빚을 진 자는 빚을 갚아야 한다. 세아는 양파를 깎으며 부모님께 진 빚을 갚는다. 세아는 미주가 세정이와 친구가 되면 500원의 빚을 탕감해 주겠다고 제안한다. 

빚을 갚는 것에 대해 이런 생각이 든다. 어쩌면 마땅한 빚 갚기 과정을 통해 사람은 알아차릴 수 있는 것 아닐까. 자신이 무능력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말이다. 돈이 있고 없고와 무관하게 자신 또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 누군가를 돕고, 배려하며, 친구를 만들 수 있다는 것... 


이 후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