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홍 - 彩虹 : 무지개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채홍, 김별아 장편소설 / 해냄

 

 

마음, 정녕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는, 살 수도 팔 수도 없는 그것!

 

 

 

 

 

사랑이 죄가 된 시대, 사랑으로 죽다!

책 표지 띠에 적혀져 있는 문구다. 처음에 표지에 적힌 '조선왕조실록 유일의 왕실 동성애 스캔들, 세종의 며느리 순빈 봉씨의 정념과 탈주' 이 문구만 보고 시대를 잘못 타고난 불운한 운명의 사람들의 이야기일 거라고 지레짐작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처음 든 생각은 저 광고성 문구는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대략적인 스토리는 세자의 마음을 얻지 못한 순빈 봉씨의 동성애 스캔들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책의 광고에는 사랑이 죄가 되었다는 문구와 함께 순빈 봉씨의 동생애에만 관심이 집중된다. 하지만 이 책의 포커스는 동성애가 아니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한다. 순빈 봉씨는 죽기 전에 이런 말을 했다.

 

" .... 그저 사랑하고 보니 사내가 아니었을 뿐입니다. 제가 사랑한 사람이 여인이었을 뿐입니다."

 

이 대사가 공감이 가기도 했지만 억지스러운 느낌또한 들었다. 책의 스토리는 나인들의 동생애로 시작해서 한 사람에게 마음을 주지도 받지도 못하는 세자의 이상한 성격으로 인해 두 명의 여인의 안타까운 외로움과의 투쟁을 길게 보여준다. 하지만 그러다 끝에는 다시 동성애로 포커스로 돌아가 사랑이 죄가 된 시대여서 죽는 것처럼 끝난다. 과연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게 그것이었을까. 나는 세자빈이 되었다가 쫒겨난 김씨와 죽음을 맞은 순빈 봉씨의 마음이 백분 이해가 간다. 하지만 순빈 봉씨의 죽음의 이유는 나인과의 동성애였을지언정 순빈 봉씨의 인생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은 그게 아니라고 생각한다. 순빈 봉씨는 여자를 좋아했던 게 아니라 '사랑'이 필요했고 외로웠던 것이다. 가족들의 사랑받고 담뿍 받고 자란 아리따운 순빈 봉씨가 세자에게 철저히 외면 당하고 모욕감과 수치심 또한 안겨주는 상황에서 그녀는 오랜시간 세자의 마음을 원하고, 마음을 얻어보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결국 모두 허사가 되고 그녀는 외로움을 못이겨 취미에도 몰두를 해보고, 술에도 의지해보고, 몰래 밖을 구경하기도 한다. 그러다 결국은 한 나인에게 손을 내밀고 기대게 된다. 그러다 그 모든 것들이 그녀를 죽음으로 끌고 가는데, 그게 그녀의 잘못이었을까. 나는 책을 읽으며 똑똑하지만 냉정한 세자를 한참을 원망했다. 그리고 외로울 수밖에 없었던 그녀의 인생이 서글펐다. 책은 그녀의 죽음으로 시작해 그녀의 죽음으로 끝이 나는데, 책을 덮고 든 생각은 꼭 끝에 죽음의 이유를 '동성애'로 치부해야 했을까. 그녀가 궐에서 쫒겨난 이유는 나인과의 동성애를 통한 음탕한 여인이 되어 그랬을지 모르나 그렇게 된 이유는 '외로움'때문이 명확했는데,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그녀의 심각한 외로움으로 인한 감정과 행동의 변화를 보여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동성애'라는 단어 하나로 끝내버렸다. 책 속의 순빈 봉씨의 외로움에 같이 빠져 밤새 책을 읽었으나 덮고나서 심각하게 허무해졌다.

 

 

p. 205

사람이란 참으로 야릇한 동물이라, 모두가 값비싼 금은보석을 좋아하는 듯해도 때로는 작은 정성에 더 감동하고 감격했다. 그때 오가는 것은 알량스럽고 자질구레한 무릎 덮개나 주머니가 아니라 마음이기 때문이었다. 마음, 정녕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는, 살 수도 팔 수도 없는 그것! p. 205

 

 

자극적인 책의 소개에 끌려 관심이 생겼던 것은 사실이지만 읽으면서 작가가 원망이 되기는 처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