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인스 하이에크]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케인스 하이에크 - 세계 경제와 정치 지형을 바꾼 세기의 대격돌
니컬러스 웝숏 지음, 김홍식 옮김 / 부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학자 케인즈는 이렇게 말했다. "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의 사고는 그것이 옳을 때나 틀릴 때나 모두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강력하다." 그렇다. 특히 현대 경제학의 두 거장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사고는 강력하다. 어쩌면 우리는 그들이 만들어 놓은 사고 속에서 살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어깨동무할 수 없는 케인즈와 하이에크

 

케인즈와 하이에크 모두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을 훌륭하게 탐구했다. 하지만 이 둘의 접근법은 달랐다. "케인스와 하이에크의 중요한 차이 중 하나는 경제를 잘 파악하려면 위에서 아래를 봐야 하느냐(케인즈), 아래에서 위를 봐야 하느냐(하이에크)" 이다.

 

 

"케인스는 대량 실업의 해결책을 찾으려고 했고, 그가 제시한 해결책은 총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총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해 케인스가 제시한 방법은 통화 정책(금리 인하 및 통화 공급량의 증대), 세금 감면, 공공사업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하지만 하이에크는 달랐다. 그는 "정부가 경제를 지휘하려는 시도는 전부 엉뚱한 방향으로 어긋나기 마련이라는 절대적인 입장을 취했다. 왜냐하면 다른 사회 구성원들 각자가 의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무도 알 수 없고 상충되는 각자의 필요를 가장 잘 반영하는 척도가 시장가격이니, 시장을 그대로 놔둬야지 개입하면 안 된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이에크의 사상은 특히 미국에서 강력했다. "미국의 독립이 영국이 부과한 세금에 대한 저항에서 비롯됐듯이, 개인은 정부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관념이 미국이란 나라의 밑바탕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의 공화당은 "하이에크가 아주 경멸하는 보수주의자들의 본고장이었지만, 하이에크의 자유지상주의를 실행하는 주된 주체가 됐다." 하지만 하이에크의 자유시장에 대한 신념이 2007년 여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이 대혼란은 수십 년에 걸쳐 시장에 거의 아무런 규제를 가하지 않음으로써 성장과 번영을 창출하고자 했던 실험이 실패했음을 뜻했다." 탐욕은 좋지 않았다.

 

 

 

"은행과 금융 기관을 비롯해 기업들이 자기 잇속을 챙기는 행동이 곧 그 주주들과 기업주 자신의 지분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길이라고 여긴 게 잘못있다.……  나 역시 충격을 받았다."

 

-앨런 그린스펀(前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2008년 10월 의회 증언석에서-

 

 

 

시장은 각자 갈 길을 가야 한다고 주장하던 사람들 중에도 자유경제의 붕괴를 반길 사람은 없다. 2007~2008년 금융 위기를 맞아 조지 W. 부시와 오바마 행정부는 긴급 대응책을 내놓았다. 철저한 케인스주의적 처방이다. 대공황 시기의 루즈벨트의 처방처럼 말이다. 하지만 효과는 의문이다.

 

 

케인스주의는 만병통치약이 아니었다. "경기 부양책을 취했어도 실업자 수가 금세 줄지 않자, 문제가 많은 공공사업에 돈을 '낭비'하고 있다는 이야기들이 퍼지기 시작했고 엄청난 정부 차입 규모에 놀라는 미국인이 많아졌다. 하버드 대학 경제학 교수 로버트 바로를 비롯해 케인스를 경멸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이 보기에 케인스는 감당할 수 없는 채무의 암흑 속으로 미래 세대의 아이들을 꼬드겨 데려가는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람 같은 존재였다." 하이에크가 오래전에 주장했듯 "정부 자금을 투자에 쏟아부어 봐야 돈을 낭비할 뿐"이라는 주장이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보수주의자들은 케인스를 자유 경제 체제를 무너뜨리려고 작정한 어두운 악의 세력이라고 여겨 왔다. 하지만 사실 자유 경제 체제보다 훨씬 더 급진적인 변화를 주창하는 심각한 도전이 일었을 때 그 자유 경제 체제의 구원을 도왔던 사람이 바로 케인스다."

 

 

-하버트 스타인, 닉슨 행정부 경제자문위원장-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현대 경제학의 두 거장 케인즈와 하이에크 경제학 사상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가 경제시스템에서부터 개인의 삶까지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는 다양하다.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더 잘 이해하려면 케인즈와 하이에크는 꼭 알아야 한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5-20 09: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5-20 14:3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