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게 뭐라고 자꾸 신경이 쓰일까? - 자꾸만 예민해져서 삶이 피곤하게 느껴지는 이들을 위한 심리해부서
차희연 지음 / 팜파스 / 2017년 2월
평점 :
자꾸 예민해져서 힘이 드나요?
특별한 존재로 만드는 선천적 능력, 민감한 감각
생각이 너무 많은 사람들
자신의 성격에서 발견하는 예민함
예민한 사람들의 대인관계
예민하다는 것은 좋지 않은 쪽으로만 생각하기 쉬운 단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반대로 생각해보니,
예민하다는 것은 그만큼 세심하고,
세심한만큼 남들에게 더 많이 신경을 쓸 수 있다는 장점이 보이는 것이다.
책에서는 예민한 것에도 종류가 있다는 것과 왜 그런 상황이 발생하는지,
예민함을 고치기 위해서는 어떻게 생각을 변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었다.
개인적으로는 나의 예민함을 체크해보는 부분과 설명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에메랄드색으로 포인트가 될 부분들을 체크해주어서,
중요한 부분을 다시 한번 집고 넘어갈 수 있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전체적으로 정리가 좀 되었으면 읽기 편했을텐데,
뭔가 흐름이 뚝뚝 끊기는 느낌이 있었다.
그래도 남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서,
그리고 내가 우선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 줄 수 있어서 좋았던 책이였다.
예민한 것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예민함을 조금 다르게 생각하면 세심하고,
그 세심함은 남을 배려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아직까지는 눈치없는 곰보다는 눈치빠른 여우가 더 예쁨받고 있지 않을까?
그리고 내가 사는 세상이지,
남을 위해 사는 세상이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면서 살자~
1장 예민함이란,
사소한 것에 신경쓰는 별 것 아닌 것에 깊게 생각하고 있는,
나에게는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과,
예민함이 어디서 생겨났는지, 모르는 많은 생각들~
끊임없이 나가는 생각과 나중에는 그것이 진실이라고 생각해버리는 오류가 생긴다.
자기 생각의 흐름을 관찰하고 관리하는 방법과
불필요한 생각을 끊는 연습이 필요하다.
예민함에도 종류가 있는데,
오감의 예민함, 생각의 예민함, 성격의 예민함, 대인관계에서의 예민함이 있다.
2장
예민함의 축복이고 잘 활용하면 부정적인 태도에서 벗어날 수 있다.
예민한 사람들은 정보 수집 단계인 오감 뿐만 아니라,
자율 신경계가 빠르고 민감하게 작용 한다고 한다.(본능적으로 공포 반응을 더 쉽게 기억하고, 잊지도 못한다)
그리고 휴식을 취하지 못한채로 긴장을 계속하게 되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어느 감각(오감)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인지 테스트하고,
나를 알아보는 테스트 결과와 함께!
3장
예민한 사람들의 행동은 외향적이기보다 소극적으로 보이지만,
내면은 섬세하고 강하다.
미묘한 변화도 잘 알아채고, 상대방에게 들키지 않고 싶어해서 더 조심히 행동한다고 한다.
불안감은 생각의 습관을 만든다는,
아이들의 행동모습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사람들은 부정적인 신호를 더 빨리 포착하는 이유는,
빠르게 대처해야 생존할 수 있기 때문이고,
나 혼자만 중요하다고 여기는(가치필터)를 찾는 것은
인간의 가장 중요한 생존 활동이다.
갑자기 예민해진 것은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트라우마때문인지는 아닌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넘처는 생각을 끊어내려면,
심호흡으로 긴장수준을 낮추고,
자신의 생각을 관찰하고, 통제 가능한 것을 구분한다면, 가능할 것이다.
4장
예민한 부분이 전혀 없는 사람은 없고,
성격에서 찾는 예민함으로 찾는 나의 성격.
즐겁고 재밌지 않다면 예민해지는 AX면,
무시당하거나 약한 면을 들키면 예민해지는 AY면,
인정과 존경을 받지 못하면 예민해지는 AZ면
사람들 간에 갈등이 생기면 예민해지는 BX유형,
다른사람의 특별함을 발견하면 예민해지는 BY유형,
관심분야의 정보를 모르면 예민해지는 BZ유형
사람들에게 관심받지 못하면 예민해지는 CX유형,
안전하다는 확신이 없으면 예민해지는 CY유형,
이상과 원칙이 무너지면 예민해지는 CZ유형.
5장
나를 싫어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고 걱정스러워,
사소한 것에 집중하는 예민한 사람.
다른 사람들이 자꾸 휘둘리고 있는 것 같다면,
그것은 예민하여 다른 사람의 표정변화나 목소리 행동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기 때문이다.
특정 관계에서 친해지는 것이 불안하다는 것은,
불안감의 근원이 무엇인지를 찾고,
대인관계 기술을 배울 필요가 있다.
대인관계에서 예민함은 장점이 될 수 있다.
남들을 더 잘 파악하고,
늘 생각을 하기때문에,
생각을 어디에 집중할지를 선택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남을 신경을 쓰기 때문에 많이 혼란스러움을 느낀다.
그렇기에 자신에게 중심을 주고,
내가 괜찮을지를 먼저 생각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