썬과 함께한 열한 번의 건축 수업 - 친절하고 재미있는 강의실 밖 건축 이야기 썬 시리즈 1
권선영 글.그림 / 컬처그라퍼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친절하고 재미있는 강의실 건축이야기.

현대 건축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4가지 키워드,

공간, , 재료 그리고 건축을 보는 나만의 !

프랑스 주요 현대 건축으로의 생생한 여행


공간

재료

나만의 건축관

나의 생각.

노년의 건축가와 배우고자 하는 학생에게 가르쳐주려고 하는 이야기로 구성이 되어 있다.

학생에게 알려주려고 천천히 쉽게 건축에 대해서 있게 나와 있었다.

만든 사람과 건축물을 만든 의도,

예쁜 그림과 함께 오른쪽,왼쪽,,아래 꼼꼼히 구경할 있었다.

나같이 건축에 대해서는 일도 모르는 사람도,

프랑스에 유명한 건축물들에 대해서,

파리뿐만 아니라 프랑스 곳곳의 건축물에 대해서 있었고,

유명한 건축가들도 있었고

건축의 역사에 대해서도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책에서 보았던 예쁜 건축물들을,

나만의 스타일로 건축물도 해석해보고,

아기자기한 그림을 그려보기도 하고 싶다^^

또한 그림이 아니라 실제로 보기 위해서,

프랑스에 여행을 한번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그리고 샤를 할아버지 같은 훌륭한 멘토를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도:)


1

샤를 할아버지와 만난 썬은 가장 좋아하는 공간에서 대화를 시작한다.

썬이 가장 좋아한다는 기마르 건물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그에 맞추어 아르누보 건축물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을 한다.

아르누보 말의 유래와 건축물의 역사와 각각 건축물의 특징에 대해서.

그리고 건축의 기초인 세가지 요소를 알려주는데,

공간구조, , 재료 기억하라고 일러준다.


빌라 사보아

사보아라는 사람을 위한 주말 별장.

빌라 사보아의 외부는 잔디위에 살짝 앉은 UFO같은 느낌을 주었고,

내부는 숨바꼭질하기 좋은 놀이터 같은 공간이라고 표현하였다.

공간마다 모든 면을 그림으로 도면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코르뷔지에 건축가가 시도한 5가지

필로티 - 1 공간을 자유롭게 사용

띠를 두른 같은 창문 - 창문의 사용으로 풍경 감상

옥상의 정원 - 옥상을 정원으로 활용

자유로운 입면 - 개수 제한 없는 창문의 활용

자유로운 평면 - 불필요한 제거


메종 라로슈

라로슈라는 개인 사업가를 위한 .

오른쪽 공간은 갤러리를 위한 공간이라 비어져 있어 부드러운 느낌을

왼쪽 공간은 주거용 공간이라 딱딱한 느낌.

건축적 산책 - 공간을 산책한다는 느낌으로 미로같은 복잡한 내부구조를 설명


2 조명의 효과.

프랑스에서는 검게 그을린 피부가 부의 상징이라고 한다.

날씨가 좋은 곳에서 한달씩 휴양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파리는 오스마니앙스타일의 건물이 대부분이였는데

위생이라는 항목이 중요시 되면서 바뱅건물 스타일로 변경이 되었다.

롱샹 성당

롱샹이라는 동네에 코르뷔지에가 지은 성당.

기존 유럽의 성당들과는 달리, 내부를 빛을 이용하여 환하게 설계.

스테인드글라스와 빛을 이용하여 각각의 색을 내는 창문과 창문에 적힌 글귀들.

옆의 수녀들의 기숙사는 지붕에 풀이 자라고

주변의 풍경과 어우러지는 형태.

파리 스위스 기숙사

실내 벽화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건물의 구조와의 조화까지 생각한 건축물.

낮에는 보이지 않던 천장색이 

밤이 되면서 불이 켜지면서각기 다양한 색을 보여주는 효과를 주었다.


3

샤를 할아버지 집에 방문한 썬은 할아버지가 지은 건축물과 할아버지에 대해서 알아간다.

콘크리트는 처음에는 혐오스러운 구조물(회색의 볼품없는 질감의 재료)였기에 타일같은 것으로 다시 한번 덧대어서 사용 되었다고 한다.

콘크리트를 처음 사용한 성당을 보고온 썬과 할아버지.

할아버지는 역사의 발전은 지금 시대 사람들이 미쳤다고 생각하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라며,

변화를 두려워 하지 말라고 한다.

브랑리 박물관

누벨이라는 프랑스 건축가가 지은 박물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그리고 아메리카 지역은 문명과 예술품을 전시회 놓은 곳으로,

유리 담벼락에 크게 신경써서 만들었다고 한다.

박물관 옆의 사무실 건물은 외벽이 온통 풀로 뒤덮여 있다.

유리 담벼락이 주위 건물에 통일 감을 주고, 내부를 보여 주어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재료의 매력을 보여준다.

파리 아랍연구소

알루미늄 파사드와 전통문양의 무샤라비에는 조절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랍 지역은 날씨가 더워서 햇빛이 들어오는 유리나 창문이 있으면 실내가 너무 더워,

조절을 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무샤라비에가 필요하다고 한다.

알루미늄 판으로 만든 것은 빛의 강도에 따라서 저절로 바뀌기 때문에,

내부에서 보면 다른 느낌의 효과를 있다고 한다.

메츠 퐁피두 센터

보통 미술관이나 박물관 같은 규모의 프로젝트는 공모전을 통해서 지어진다.

메츠 퐁피두 센터는 시게루라는 일본계 미국인 건축가가 가스틴이라는 프랑스 동료와 함께 건축물을 지었다.

메츠 퐁피두 센터는 나무를 이용해서 지은 건물인데,

이전의 파리 퐁피두 센터의 후속작이기 때문에 건축물의 공통점이 필요했고,

그것을 '혁신'이라는 것으로 하였다.

파라솔을 연상하게 하는 천막과 육각형의 나무 틀로 만든 특이한 구조의 건축물이고

나무라는 재료이기때문에 휘는 것도 연결하는 것도 많은 실험과 과정이 필요했다고 한다


4

샤를 할아버지의 건강이 안좋아지기도 하고

썬의 건축 세계관을 찾기 위한 수업, 나만의 건축세계 찾기 프로젝트의 시작이 되었다.

파리 퐁피두 센터

프랑스 친구 멜라니와 함께 방문한 파리 퐁피두 센터.

독특한 건축물이기 전에 파리를 대표하는 현대 예술 공간으로,

외관에서 보았을 때는 형형색색의 튜브들이 붙어 있어,

사람마다는 공사중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장난감 공장처럼 보인다고 한다.

퐁피두 센터는 색깔코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파란: 공기 정화, 노란: 전기 공급, 초록: 물공급, 빨간: 사람들이 다니는 공간)

최대한 많은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것들을 외부로 빼내어 놓은 구조다.

(1 영화, 2,3,4 도서관, 5,6,7 미술관)

레독스

초록색의 흘러가는 강물형태로 보여지는 건축물.

밖과는 달리 횡한 내부.

하지만, 20 동안 방치되어 죽어 있던 공간을 살리기 위한 프로젝트로써,

기존 공간에 새로운 살을 입혀준 플러그 오버 재탄생.

사람마다의 평가는 다르지만 반의 성공.

디자인 숍과 프랑스 패션협회 등의 입점과 호기심으로 찾아 시민과 고객들이 늘었고,

옥상의 정원으로 꾸며져 있다고 한다.


피에르-마리 퀴리 공과대학교 아트리움

아트리움은 실내공간에서 외부와 소통할 있게끔 해준다.

색색으로 구분해 놓은 건물의 용도도 있고,

하늘이 보일 있게끔 위의 천장이 유리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물방울 모양의 파사드는 필터 역할을 하여 햇빛이 강하게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12호선 파리 지하철 공사

연녹색의 큐브같은 건물.

지나가는 길에 들린 건물이라, 건축가의 설명도 없고 무슨 의도인지 몰라,

썬은 혼자서 관찰하게 된다.

튀어나온 큐부는 건물 입구의 지붕역할을 하고, 내부와 외부의 연결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놀이같은 느낌의 건축물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