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같지 않은 엄마
세라 터너 지음, 정지현 옮김 / 나무의철학 / 2016년 12월
평점 :
겁도 없이 부모가 되다
생각과 다른 나날들
하나에서 둘이 되다
육아, 그 참을 수 없는 반복의 지루함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무엇과도 바꾸지 않을 나의 아이들
나의 이야기.
이 책을 읽고 있는 이때에,
나의 친구의 와이프가 아이를 낳으러 갔다.
고기를 먹고 나왔는데,
뽁 소리가 나더니 양수가 터졌댄다...ㅜㅜ
이렇게 주변에서 갑자기 엄마가 되다니..
내가 더 무섭고, 긴장이 되었다.
원래는 나도 언젠간 엄마가 되겠지라는 생각에 책을 읽기로 했었는데,
읽는내내 읽으니 더 현실같아서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아기가 생기고, 태어났다. 이 이야기외에는 들어본적이 없었다.
아가들이 2시간마다 우유를 달라고 운다는 것이나,
엄마들도 이야기 할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
가끔은 아이를 보는 것보다 일이 더 쉽고,
매일 같은 일들의 반복이 미칠때...
이런것들을 겪고, 또 가감없이 작가가 쓴 일기같은 책을 보니,
미리 알아두면 정신적으로도 그렇고,
노하우를 알려주니 좋은 팁들도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은 머나먼 나의 미래 아니면 오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분명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세상의 모든 엄마들은 정말 위대하다:)
나도 나의 엄마에게 늘 감사함을 느끼고 있고,
부끄러워서 말은 못하지만, 사랑합니다:)
책에서는 작가가 사랑하는 아들들에게 쓰는 편지와 본인의 경험담을 쓴 일기, 그리고 독자(아마 댓글일 것으로 추정됨)의 짧은 이야기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엄마가 아빠가 되는 과정에 대해서 쓰여 있는데,
특히 출산에 대한 부분은 첫째와 둘째를 낳는 것을 비교해서 썼는데,
모든 것은 케이스바이케이스 인 듯하다.(둘째가 쉽다는데, 작가는 둘째를 낳다가 죽을뻔 헀다고..)
그리고 모유수유의 장단점과 단계별 심리상태를 알려주었다.
2장에서는 현실에 관해서다.
일하는 남편과 집에서 아이를 보는 엄마.
그리고 남편과의 섹스에 관한 이야기라던가,
출산후의 몸매와 스타일에 대해서 주로 나와 있다.(연예인들은 일반인과 다른가보다...)
그리고 아이들의 장난감은 왜 시도때도 없이 밟히는지,(아마 아이키우는 집은 공감 100%일듯)
엄마가 되면 하지 말아야지 했던 것들과 과거를 떠올리는 에피소드가 생생하게 나와 있다.
3장에서는 둘째에 대한 이야기다.
두명의 아이가 있다는 것은 한명일 때 몰랐던 어려움을 알게 된다는 것과,
아이를 혼자 볼 수 없고,
해야 할일과 더불어 스트레스는 2배가 된다는 것에 대한 생각과 에피소드...
그리고 확실히 둘째는 첫째보다는 덜 신경 쓴다는 것(이건 진심이 덜 해진다는것이 아니라 경험치가 생겨서 여유가 생겼다는 것 같다^^)과,
둘째에게 쓰는 편지가 나와 있다.
4장에서는 엄마의 비애 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엄마의 머피의 법칙...
남들 앞에서만 착한 아이, 자라고 할땐 안자고 자지 말라고 할 땐 자고,
꼭 그 시기에 하는 행동들이 반복 됨(숨바꼭질, 축구, 겨울왕국놀이,밖에서 드러눕기, 안먹겠다고 하기 등등)에 짜증을 느끼다가도 자거나 안아줄때 그렇게 사랑스럽고 예쁘다고 한다.
그리고 SNS는 선택적으로 편집한 현실이 된다.
아이가 있어서 나쁜 점은
시끄럽고, 외출이 늦어지고, 수면부족에 구역질을 유발하고, 아플수도 없어진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사랑하게 되고, 아이때문에 웃게되고, 여행도 즐겁고..
결국엔 가족이라는 것이 아이들이 주는 가장 큰 선물이라고 한다.
#5장에서는 엄마 입장에서 본 엄마의 이야기다.
다른 이를 보면서 작가가 그 아이의 엄마에게 편지를 쓰는 에피소드다.
물론 그 엄마가 읽었는지 안읽었는지는 모른다^^
그리고 작가가 본 엄마로서의 나를 평가한다.
모든 부족하지만, 되돌아 보고 반성도 한다.
그리고 작가의 엄마에게 편지를 쓰고, 반성도 하고 다짐도 한다.(작가의 엄마는 이미 돌아가셨다.)
그래서 더 많이 엄마라는 부분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지 않았나 싶다.
#6장 과거,현재,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고 생각한다.
금방 커버리는 아이들,
엄마가 되기 전의 나와 엄마가 된 후의 나를 생각하고,
불평하는 글을 쓰는 것에 대해서 사람들이 이야기 하는 것,
그리고 또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사람들(아이가 없는 사람 혹은 안생기는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에 대해서.
#1 사랑스러운 아가들.
작가의 예쁜 아들1, 아들2.
사진만 봐도 개구짐이 느껴진다:)

#2 과거.
과거의 그리움일까 아름다움일까?
작가는 그래도 현재가, 미래가 더 기대되는 것 같다.

#3 육아 Tip.
작가가 알려주는 육아 노하우.
야간의 수유는 지옥일 것이다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