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을 위한 참 쉬운 글쓰기 - 업무가 빨라지고 자존감을 높이는 글쓰기 기술
안태일 지음 / 아이스크림(i-Scream)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생님을 위한 참 쉬운 글쓰기


처음에 제목을 보고 선생님들이 아이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쳐주는 책이라고 생각을 했었다.

근데 이 책은 업무 효율성을 알려주는 책었다.

글을 쓰는 전문직이 아닌 선생님(여기는 선생님이지만 결국엔 문서작성을 위한 사람들)을 위한 내용이였다.

선생님들은 생각보다 많은 이야기를 쓴다.

보고서, 가정통신문, 공지사항 알리기, 학부모 상담, 단체 문자 발송, 생기부 작성 등 다양한 글쓰기 일 있다.

그래서 선생님들도 마감이 다가올 수록 마음만 급해진다고 한다.

역시 모든 직장인들은 똑같은 마음인가보다.


글쓰기는 그냥 하는 것이 아니라 공식이 있다고 한다.

글의 순서를 가지고 쓰면 훨씬 매끄럽다고 한다.

상업 영화는 스토리 전개 공식이 정형화 되었는데,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 순으로 되어 있다.

이렇듯 사람들이 익숙해하는 기본 원칙이 존재한다.

이후 필요한 것은 가독성을 높이는 스킬과 문장 뭉치기 스킬.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다양한 스킬법이 존재한다는 것도 놀라웠지만,

단순히 적용하는것이 다는 아니였다.

대상이 선생님이고, 학부모님을 위한 글인만큼 설명은 친절해야하고, 쉬워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가 잘 드러나도록 제목과 본문에서 알 수 있어야 한다.

책을 보면서 글쓰기도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빠른 퇴근, 수월한 업무처리를 위해서 당연히 글쓰기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그전에 책에서는 더 중요한 것을 알려주었다.

업무와 자존감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우리는 일을 하면서 무엇을 위해서 하는지 종종 잊긴한다.

빠르게 일을 처리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내가 하는 업무에 대한 자존감이다.

나는 선생님은 아니지만,

선생님들을 참 존경한다.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아이들을 위해서 많이 노력하고 희생도 하시고, 힘든일들도 잘 해내가시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예전처럼 선생님에 대한 존경은 많이 보이지 않는 것 같아서 아쉬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선생님들은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이 존경하고 있다는 마음,

그것을 잊지않고서, 일을 하면 더 좋을 것 같다.

글을 잘 쓰는 법을 위해 이 책을 읽었는데, 다른 많은 것들을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