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브루타 미술 교과서 - 창의적인 생각을 열어주는 행복한 시간
권태남 지음 / 라온북 / 2020년 12월
평점 :
하브루타 미술교과서
유대인들이 오늘날 큰 힘을 갖게 된 배경은 그들의 특별한 교육 방법에 있다고 했다.
그중에 핵심이 되는것이 하브루타인데,
하브루타는 친구, 동반자를 듯하는 히브리어인 하베르에서 비롯된 용어로,
서로 짝을 지어 매 순간 질문을 하고 토론과 논쟁을 하면서 자기 스스로 생각하는 훈련을 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창의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는 교육방식이라고 한다.
히브루타의 큰 장점은 남들과는 다른 생각을 하도록 만드는 것 이라고 한다.
남보다 잘하는 것이 아니라 다르게 생각하는 것.
이게 바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필요한 요소인 창의력이 아닌가 한다.
저자는 기존의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는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하브루타 교육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어떤것도 미리 제시하지 않고,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는 것을 그림으로 옮기고 색을 칠하게끔.
선밖으로 넘어가도 되고, 동그라미가 동그라미가 아니여도 되고,
그렇게 그리는 것을 하브루타 교육법으로 더 잡아주는 것을 아이의 그림으로 보여줬다.
점점 더 자신있게 그리고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그림으로 변화한 것이다.
책에서는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하라고 한다.
미술이라는 도구가 아이의 창의력을 표현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육상 창의력을 표현하는 것보다는 테크닉을 강조하는 미술교육 실상이라고 한다.
그림에는 정답은 없지만,우리나라 교육에서는 기법적인 부분에 대해서 더 많은 이야기를 한다.
그래서 그림을 좀 그릴 줄 안다는 아이들에게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라고 했을때,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고 한다.
아이들은 그림을 잘 못그려도 된다.
다양한 생각과 그것을 표현해 낼 수 있는 것을 우선 길러주어야 하는것이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아이에게 칭찬을 하고 격려를 하는 것은 여유롭고 즐겁게, 그리고 자존감과 자신감을 높여주는 것이 하브루타 미술교육 방식이다.
하브루타는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1. 내용 질문: 스토리텔링 수업의 예시를 들어 '주인공은 누구일까' '어디에 있을까' 등 육하원칙에 따른 이해도를 묻는 질문
2. 심화 질문: '왜 그랬을까?' '왜 그런생각을 했을까' 등 더 깊이 들어가 유추하거나 가정하고 상상해보는 질문
3. 적용 질문: '주인공이 나라면?' '내가 작가라면' 등과 같이 자신의 실생활에 적용해 보는 질문
4. 독창성 질문: '어떻게 남들과 다르게 표현할까' 등 하나의 질문을 낮은쪽에서 놎게 해보는 질문
이것을 토대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같은 이야기를 하지만, 각기 다른 결과물이 나온다고 한다.
작품을 그릴 때만이 아니라 감상할때도 마찬가지다.
오감을 탐색하면서 언어를 발달시킨다고 한다.
양떼 마을이라는 주제로 엄마와 아이가 하브루타 미술 수업을 진행하는 것을 본다.
수업의 주재료는 솜과 사포이다.
재료 탐색 과정에서 아이는 솜과 사포의 상반된 촉감의 소재를 통해 오감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다.
솜의 느낌이 어떠냐고 물어봤을때 아이가 답을 하지 못하면, 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생각을 이끄는 질문을 해야한다고 한다.
아이가 이게 뭘까 보들보들할까? 몽실몽실한가? 폭신폭신한가? 의 이런 질문으로 이어가면서 솜의 느낌에 대해서 파악을 했다면, 솜은 보들보들한거구나 라고 정리를 해서 말해준다.
사포도 마찬가지로 표현을 해본다.
아이와 질문을 하고 대답을 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이 계속된다면 스토리텔링으로 이어지게 된다.
아이가 얼굴을 파랗게 색칠했다면, 아니야가 아니라 왜 그렇게 칠했어라고 물어보면서 아이의 상상력을 인정하면서, 대답을 이끌어낸다.
하브루타 미술교과서는 미술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좋은 교육방식인것 같다.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서 창의력도 올리고, 표현력도 올려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단답형과 답이 아니라, 질문으로 답을 이끌어 내고 표현 할 수 있도록.
그것이 하브루타 교육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