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거인 (15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프랑수아 플라스 글 그림, 윤정임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랑 함께 읽는 그림책인데도 마음에 길게 여운이 남는 책이 있다.

독특한 삽화가 인상적이거나 글의 내용이 생각을 머금게 하여 짙은 감상을 남기기 때문이다.

이번에 읽은 프랑수아 플라스의 그림책 마지막 거인이 그러한 책이었다.

이번에 한국어판 15만 부 판매 기념 스페셜 에디션으로 나온 마지막 거인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띠지에 적힌 대로 참 많은 상을 받았다.

몽트뢰 어린이 도서전 토템 앨범, 프랑스 문인협회 선정 어린이 도서 부문 대상, 벨기에 비평가 선정 최우수 어린이 그림책상, 미국 헝그리 마인드 리뷰상, 독일 라텐핑거상에 빛나는 작품으로, 전 세계 14개국 번역 출간되었고 국제아동청소년 도서협의회 선정 명예 도서, 환경부·한국환경보전원 선정 우수 환경 도서였다.

이 글을 쓰고 그림까지 그린 프랑수아 플라스는 어릴 때 허먼 멜빌의 <모비 딕>에 감동받아 여행과 모험을 꿈꾸게 되었고 그림책과 지리학에 관심이 많았다.

직접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책을 여러 권 발표했고 1992년 <마지막 거인>으로 유수의 수많은 상을 받게 되었다.


대체 마지막 거인은 어떠한 내용이기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울림을 주며 많은 상을 받게 된 걸까 궁금해졌다.

표지에 그려진 거인의 뒷모습이 쓸쓸해 보이는 건 왜일까 호기심이 일며 책장을 넘겨보았다.

한 페이지는 글, 바로 옆 페이지는 그림으로 이루어진 그림책이었다.

글의 내용을 그대로 세밀하게 표현한 그림에 시선이 머물렀다.

글 한 번, 그림 한 번 이렇게 읽어본 후 그림 페이지만 쭉 넘겨서 그림만 읽어보았다.

아, 이 책이 주는 여운이 상당했다.

어린이 문학이지만 왜 어른들을 위한 동화라 불리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야기는 어느 지리학자가 우연히 아주 커다란 거인의 이를 구입한 후 거인의 이에 그려진 지도에 그려진 곳으로 모험을 떠나는 것에서 시작된다.

드디어 거인과 맞닥뜨리게 된 지리학자는 그들과 함께 꿈같은 시간을 보냈고 고향으로 돌아온 후 그들에 대한 책을 펴낸다.

하지만 이것이 비극이 될 줄이야, 다시 가본 그곳에는 거인의 삶이 모조리 파괴되어 있었고 그들은 멸종했다.

이 책에는 최재천 교수와 오소희 작가의 글이 수록되어 있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내내 제 가슴속에는 커다란 박하사탕 하나가 녹고 있었습니다. "

최재천 교수의 글 첫 마디가 나에게는 이렇게 읽혔다.

박하사탕이 녹고 있다는 표현이 마치 지구 온난화로 극 지방의 빙하가 녹는 듯한 느낌으로 치환되었다.

우리의 욕심과 이기심 때문에 피해를 받고 있는 모든 것들을 표상하는 것 같았다.

"침묵을 지킬 수는 없었니?"

거인의 나라에서 누렸던 행복을 자신의 명예욕으로 파괴하고 말았다는 자책감으로 괴로워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현재의 우리의 모습이 아닐지 모르겠다.

자연을 보호하고 환경을 생각해야 하지만 개발에 대한 욕심과 그 이익으로 자연을 파괴한 우리의 모습이 연상되었다.

레이첼 카슨의 책 <침묵의 봄>을 읽으며 느꼈던 감정들이 떠올랐고 여전히 지구 곳곳에서 자행되는 환경 오염과 환경 파괴로 점점 더워지는, 이상기후가 발생하는 것에 대해 경각심을 일게 했다.

마지막 거인은 우리가 무엇을 지켜야 하며 무엇을 소중히 여겨야 하는지 그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책이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며 우리가 사는 하나뿐인 이 행성 지구를 아름답게 보존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이 후기는 해당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적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