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문자의 역사 - 인류는 어쩌다 문자를 만들었을까?
로익 르 갈 지음, 카린 맹상 그림, 양진희 옮김, 장영준 감수 / 키움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는 어쩌다 문자를 만들었을까?

문자가 없었던 시기에는 그림과 기호로 동굴 벽에 남겼다.

우리가 쓰는 문자는 인류의 역사를 통해 발전되어 왔으며 글을 읽고 쓰는 데 꼭 필요한 상징체계가 되었다.

인류의 위대한 업적인 문자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 한 권을 읽게 되었다.

 

글을 쓴 로익 르 갈은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며 수많은 자료를 수집해 이 책을 만들었다.

아이가 읽어도 좋지만 어른이 읽기에도 흥미로운 내용으로, 알차게 문자 관련 지식과 교양을 쌓기 좋았다.

 

책을 읽다 보면 270mm*340mm라는 큼직한 판형에 페이지를 가득 채운 압도적인 그림이 인상적으로 와닿는데 이 그림을 그린 이는 카린 맹상이다.

카린 맹상 또한 그래픽 디자이너로, 각각의 문자와 당대 문화에 맞는 분위기를 화려하고 다채로운 색채로 표현했다.

 

책의 차례를 보면 세계의 다양한 문자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문자에 관련한 역사적인 내용을 함께 소개해서 흥미로운 문자의 세계를 엿볼 수 있었다.

 

알파벳만 해도 페니키아 알파벳에서 시작해서 고대 로마 알파벳, 사를마뉴의 소문자, 고딕체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이 흘러 지금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음을 알게 되었다.

 

고딕체는 들어봤어도 언셜체는 처음 들어봤는데 로마 제국에서 필경 수도사들이 복음서와 성서 구절을 베껴 쓰면서 발생한 글자체였다.

획수가 많고 각진 모양의 고대 로마 알파벳 대문자에서 조금씩 둥근 곡선 형태로 바뀌었다.

 

키릴 문자는 오늘날 러시아인이 사용하는 문자로, 그리스 문자를 이어받아 변형시킨 것이라고 한다.

러시아뿐 아니라 동유럽 일대, 남유럽의 세르비아,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등에서 사용하고 있단다.

 

프랑스인이 쓴 책인데 우리의 한글이 소개되어 있어 자랑스러웠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음소 문자로, 차원 높은 문자로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글자를 만든 사람과 만들어진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는 문자이기도 하다.

 

신들의 도시를 뜻하는 데바나가리 문자는 인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언어들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로, 줄에 글자를 대롱대롱 매달아 놓은 것처럼 글자들을 하나로 이어 주는 윗선이 있는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었다.

 

글의 내용을 읽는 것도 흥미로웠지만 삽화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는 문자를 음미하는 것 또한 즐거움이 되었다.

다양한 문자의 세계에 호기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문자의 역사에 흠뻑 빠져들었다.

 

문자가 발전해 온 역사와 함께 책이 만들어지는 인쇄술의 발전,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 등 문장 부호의 등장, 깃펜의 사용, 채색 필사본 등과 같은 다채로운 내용이 소개되어 문자 관련한 내용을 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마지막 페이지에는 책 속에서 다룬 세계의 다양한 문자를 지도에 표기해 놓았다.

아니 문자를 표기해 놓은 형태가 지도 모양이라 어느 지역에서 어떠한 문자를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쉽게 되어 있었다.

 

인류가 만들어낸 아주 훌륭한 업적인 문자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멋진 삽화와 함께 알아볼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책이었다.

 

- 이 후기는 해당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적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