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말엔 무슨 영화를 볼까?> 9월 5주

 

 

 

 

 

 

 

 

인류가 가지고 있는 공포 중의 하나는 바이러스로 인한 대재앙이다. 중세시대의 흑사병과 스페인 독감 등 바이러스는 인류를 위협하는 치명적인 적이었다. 아직도 인류는 변종 바이러스의 창궐에 노출되어 있다. 현실에서도 사스와 조류독감 등 실제 우리를 위협하는 각종 바이러스들이 존재하기에, 바이러스 재난 영화는 앞으로도 계속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단지 영화적 공포가 아니라 현실가능한 공포는 우리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  

컨테이젼



컨테이젼은 변종 바이러스가 급작스럽게 퍼지면서 전인류가 혼란을 겪는 모습을 담아낸다. 극적 재미나 케릭터에 대한 감정이입을 배제한 체, 인간군상들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이 혼란을 어떻게 겪어내는지 다큐같은 사실성으로 보여준다. 정부기관의 대처과정과 혼란에 빠지는 사람들의 모습, 그리고 특종을 좇는 파워블로거의 모습을 통해 사회적 의미까지 담아내고 있다. 재난 영화에서 우리가 기대하게 되는 전형적인 영웅은 없다. 컨테이젼은 단지 바이러스의 공포뿐 아니라, 위기가 닥쳤을 때 사회시스템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서늘한 현실감을 느끼게 한다. 


아웃브레이크


더스틴 호프만이 주연한 영화는 컨테이젼의 원조 격이라 할 만하다. 아프라카에서 발생한 출혈열이 급속히 퍼지면서 미국은 혼란에 빠진다. 주인공 샘 대령(더스틴 호프만)은 치명적 바이러스의 위험성을 무시하고 해결방법으로 민간인 마을을 폭사시키려는 정부에 맞서 백신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 활약한다. 다양한 인물들의 관점에서 진행되는 컨테이젼과 달리 아웃브레이크는 샘의 영웅적 활약상과 극적인 재미를 줌으로써 흡입력있게 영화를 전개해간다. 바이러스를 없애기 위해 마을을 폭격하라는 지시가 내려지고, 샘의 아내인 로비가 환자를 치료하다 바늘에 찔려 바이러스에 감염됨으로써 치료제를 만들기까지의 과정이 손에 땀을 쥐게 전개된다.    

 12몽키즈

브래드 피트와 브루스윌리스가 출연해 캐스팅만으로도 화제를 모았던 12몽키즈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인류의 99%가 멸망한 2035년 미래를 배경으로 시작한다. 미래세계에 감옥에 수감되어 있던 주인공 제임스 콜(브루스 윌리스)은 과거로 돌아가 바이러스가 살포되는 것을 막으라는 임무가 주어진다. 그는 잘못해서 1990년으로 보내지고, 정신병동에 수감되어 제프리(브래드 피트)라는 청년을 만난다. 제임스는 제프리가 12몽키즈라는 단체의 주요인물임을 알게되고, 그를 저지하려한다. 12몽키즈는 시간여행과 독특한 종말론적 분위기로 결말에 이르기까지 스토리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컨테이젼 - Contagio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컨테이젼

신종플루, SARS 등 지구에 도사리는 바이러스의 전염을 추적하는 이 영화는 시종일관 기침을 참게 만든다. 뚜렷한 주인공도, 극적 서사도 없이 담담하게 줄거리를 끌고 나가는데, 오션스 일레븐 시리즈를 통해 미시적이고 소소한 스팩터클을 만들어낸 감독의 내공이 느껴진다. 그가 찍은 마지막 극 영화가 된 ‘컨테이젼’은 흔한 음모론적인 이야기를 담지도 않는다. 뚜렷한 선악도 없다. 때문에 영화를 보고 난 많은 관객은 ‘이게 뭐지’라는 반응으로 극장문을 나섰다. 감독도 밝혔듯이 모종의 동기를 가지고 제작, 기획되는 극영화에 더 이상 흥미가 없어진 만큼 영화는 최대한 인위적인 연출을 자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영화 역시 결국에는 연기와 픽션으로 이루어진 만큼 배우들의 연기가 참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것이 영화에 힘을 실어주었다.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생활 속 공포를, 매우 현실적으로 그려낸 영화,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기에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컨테이젼 - Contagio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서늘한 조물주의 시선으로 바라본 인간군상의 모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촌방향 - The Day He Arrive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북촌방향을 보고 있자면 하염없이 튀어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은 냉소도, 박장대소도 아니다. 어디선가 많이 봄직한 상황을 카메라의 시선으로 바라보기가 너무 민망해서이다. 낮인지 밤인지 누가 누군지 구별할 수 없는 흑백영화에서 (어김없이 영화를 만들었다던) 주인공의
모습에서 인간 보편의 모습을 발견한다. 뫼비우스 띠처럼 안과 밖에 한없이 뒤틀린 세상. 끊임없이 이어진다. 그리고 내가 어디에 있는 지 모른다. 그냥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다.  

시간과 화면의 전환에 따른 서사적 흐름이라는 성질을 기본으로 하는, 영화의 장르적 특성마저 뒤틀어버리는 홍상수. 모호한 화면에 진지한 의미부여를 하는 영화판 평론가들에게 그냥 이건 우연히 일어난 영화 한 컷에 불과하다고 조롱이라도 하듯. 배우와 감독 관객 그 누구도 북촌을 향하진 못한다. 이 영화에서 인물들은 자신의 운명에 갇힌 수인들처럼 빙빙 맴돈다. 그의 영화가 묘파하는 지리멸렬하고, 모호하며, 파편적이고, 차가운 현실의 감촉은 서늘하면서도 우스꽝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촌방향 - The Day He Arrive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운명에 갇혀 제 자리를 빙빙 맴도는 사람들, 우스꽝스럽고 서늘한 현실의 감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