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간 만에 게임 만들기
게임도칸 지음, 김은철 외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한 리뷰입니다. 




게임을 만드는 건 어렸을때 한 번쯤은 생각해보고 했던 것이지만, 실제로 어린 시절이 지났어도 게임을 만들어본적은 없다. 생각지 않고 있었는데, 도서의 제목 '한 시간 만에 게임 만들기'라는 제목을 보니, 어린 시절에 그런 생각을 하고는 했다는 게 기억나며 관심이 갔다. 게임을 만드는 것 자체가 어렵고 불가능하게 느껴지는데, '한 시간 만에'라는 문구에 가능한 것일까 하는 의문적 생각과 그렇게 시간을 직접적으로 제목에 적을 만큼 가능한 것이리라는 생각도 들었다. 뭔가 낯선듯 반갑고 기억나는 듯 오래전 인듯한 게임들의 모습을 보며 어렵게도 느껴지지만 그래도 쉽게 표현된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받았을 때는 그 두께와 꼼꼼하면서도 요즘 쉽게 떠올리는 게임과는 다른, 클래식한 게임의 분위기까지도 도서의 디자인에 담아낸 것에 눈길이 갔다. 그리고 다시금 게임이라는 것이 엄청 간단한 것은은 아니지만 이걸 쉽게 안내하고 제공하는 도서가 반갑고 흥미롭게 느껴졌다.




어쩌면 이 도서에서 말하는 게임이 익숙한, 클래식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이거나 익숙한 분이라면, 그렇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을 부분일수도 있지만, 잘 알고 있거나 익숙하다기보다는 궁금증과 기대감으로 도서를 만난 상황이라 그런지, 시작에서 말하는 '수록 타이틀'이라는 표현부터 낯설게 느껴졌다. 도서에는 수록 타이틀이라 소개되며 안내되는데, 인기가 있는 대대표 장르 중 프로그래밍이나 게임 내용에 중복이 없도록 다양한 라인업을 준비했음을 말하7가지가 소개되어진다. '왕도 RPG의 전투 장면, 라이프 게임, 리버시, 낙하물 퍼즐 게임, 도트잇 게임, 유사 3D 던전 게임, 전국 시대 시물레이션 게임'이다. 이 순서에 있어서 안내되어지는 내용은, 난이도나 분량을 기반으로 장을 구성했다고 한다. 순서대로 작성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어떤 것부터 시작해도 좋다고 적혀 있다. 개인적으로 살펴보는 게임이 낯설었지만, 그래도 낙하물 퍼즐 게임, 도트잇 게임은 흑백과 컬러의 차이지 알고 있는 그 게임이라는 생각에 반가웠다.

아예 낯선이들이라면 천천히 알아가고 그렇구나 고개를 끄덕이며 익숙해지느 시간, 살피며 알아가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클래식 게임이 무엇인지 알고 익숙하거나 관심을 가진 이들이라면, 내용을 따라가며 어쩌면 정말 한 시간도 가능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 생각이 들만큼 도서에 단계가 있고 자세히 알려주고 있었다. 다만, 모르는 이의 입장에서는 살피며 익숙해지는 과정이 조금 필요할 수도 있다. 그런데, 과정 자체의 의미라면 안내된 것 처럼 순서대로 해보면 좋을 것이다.

하나의 또 다른 신선한 세계 같은 느낌이었다. 약간은 그 신선함이 내가 생각했거나 상상한 것과는 다르지만, 조금은 궁금함에 살짝 엿보던 세계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본 느낌이랄까, 새로우면서도 어려운듯하면서도 자세하기에 해보고 싶어지고 할 수 있을 것 같은 그런 느낌이다. 명확히 표혀하기에는 클래식게임이 아직 많이 낯설다. 그런데, 이렇게 클래식 게임을 좋아하고 그걸 만들 수 있는 단꼐를 자세히 알려주는 도서가 있다는 것이, 그리고 그 도서를 살피는 것 만으로도 궁금했던 세계의 도면을 보고 온 기분이들었다.

#비주얼스투디오 #객체지향 #C++ #한시간만에게임만들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