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 건축 너머의 세계를 향한 치열한 질문과 성찰 서가명강 시리즈 17
김광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21세기 북스의 '서가명강' 시리즈 책을 정말 좋아한다.

'서가명강'시리즈 책이라는 것 부터가 관심이 가는데,

책의 주제가 '건축'이라고 하니 더욱 설레이고 기대되었다.







건축은 공동체에 질서를 주기 위해 짓는 공간을 말한다.

건축을 생각할 때 잊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정의다.

우리 사회가 지금 막 생겨난 것이 아니듯이,

사회를 움직이는 도시와 건축도 막 생겨나지 않았다.

오래전부터 도시의 수많은 건축물을 만들어왔고,

건축은 그렇게 사회의 질서를 만들었다.

건축이 바라는 질서와 사회가 바라는 질서는 하나가 아니다. 서로 다르다.

그러니 건축은 개인사가 더더욱 아니다.

<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김광현 지음 / 21세기 북스

건축의 뛰어난 목적은 그것이 아름답건 아름답지 못하건

함께 사는 사람들이 공동의 가치를 공유하고 지속하게 해준다는 데 있다.

'우리'는 둘일 수도 있고 가족일 수도 있으며

아주 큰 국가일수도 있다.

<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김광현 지음 / 21세기 북스

'건축'이라는 표현 가운데

나는 애석하게도 나의 집이나 내가 생활하고 누리는 문화적 공간과 같은

개인 위주의 건축물을 먼저 생각했다.

또는 아주 유명하여 모두가 알 고 있는

한 번쯤 가보고 싶어하는

그런 건축물을 생각했다.

'건축'과 '사회'가 연결되어진다는 생각은 하지 못했었다.

그런데 책에 적힌

건축의 정의와 목적은 내가 생각했건 것과 달랐다.

그제야 책의 제목이 '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인 이유를 알것 같았다.

건축은 한 개인의 소유물이나

개인의 공간 구성을 위한 과정이 아니라

'모두의 미래'와 '사회'가 함ㄲ쎄 연결되어지는 것이었다.

사회와 생활이 건축을 좌우하는 것도 맞지만,

역으로 정해진 건축가운데 생활하며 사회를 구성하고,

또한 건축 가운데 사회의 특성과 문화가 묻어나기도 하였다.

관심가운데 펼치기 시작한 책이지만,

정말 건축에 대해 알아가기 시작하니

건축이라는 주제에서 '질문과 성찰'이 빠질 수 없음을 알게되었다.

우리는 사람 수명보다 오래 견디는 무수한 건축물에 둘러싸여 산다.

건축 안에서 태어나고 죽는다.

건축과 함께 살고 건축물 안에서 일한다.

또 건축물을 바라보며 사고 하고 문화를 향유한다.

건축으로부터 도망갈 수 없다.

<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김광현 지음 / 21세기 북스

'사회는 공간적, 공간은 사회적'이라는 부분의 글이다.

이 부분에서는 공가의 배열이 공동체가 모이는 방식을 투영하는 것과

건축의 배열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었다.

특히 경계와 영역에 대해서 이야기 하며

'건축 설계는 공간을 열고 닫으며 사회적 관계를 구성하는 작업'이라는 표현이 인상적이었다.

읽을 수록 공간이라는 개념에 의미가 부여됨을 느낀다.

그리고 그 공간과 건축안에서

나의 생활과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내가 속한 공동체의 모습등을 다시 바라보게 되는 것 같다.

또한 이것은 '나'라는 개인을 넘어서

내가 속한 공동체의 상호작용과 생활 모습을 만들어가기도 하고

그러한 공동체를 넘어 한 사회와 국가의 모습과 문롸를 담아내기도 하는 것 같다.

관심사라는 표현으로 만난 건축이었지만,

그 의미와 깊이를 깊이있게 새겨보는 시간이었다.

이제는 건축과 관련해서는 그저 관심사라고 표현하기 보다는

사회와 생활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나의 생활 모습과 삶을 만들어가는

소중하고 가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로서 말하고 싶다.

또한, 한 개인을 넘어서

사회와 모두를 향해 연결되어 있는

건축물과 건축, 그리고 공간의 의미와

그러한 공간 가운데 만들어지는 생활과 문화를

앞으로 어떻게 구성하며 담아갈지

기대되어지면서도 질문하게 되는 시간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