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라 ㅣ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27
안나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1월
평점 :
「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라」 (안미나 글/자음과모음)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 리뷰입니다. ★

우리는 흔히 수학을 서양의 학문으로 여기기 쉽습니다.
많은 사람이 근대화 이후 서양에서 수학이 전해지면서
수학을 배우기 시작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수학은 동양에서도
오랜 세월 동안 연구되고 발전해 왔습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이미 정교한 수학 체계가 존재했고,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적인 활용이 이루어졌습니다.
수학은 숫자 계산뿐 아니라 우리의 생활 속에 꼭 필요합니다.
또한 세상을 이해하는 근본적인 틀이며
과학과 철학의 기초이기도 합니다.
특히 동양에서 숫자는 철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유교, 도교 등의 철학적 전통 속에서
수와 원리는 우주의 이치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었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사고가 깊이 자리 잡았습니다.
동양에서 학문을 닦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졌던 만큼
수학 역시 실천적이고도 학문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라』는
이러한 동양 수학의 오랜 역사와 그 위대함을 조명하는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조상들의 지혜 가득한
수학의 역사를 알게 됩니다.

숫자에 담긴 의미,
구구단을 사용했던 삼국 시대 이야기,
세종대왕이 공부한 수학책 등
수학에 대한 동양과 조선의 수학 역사는 흥미롭습니다.

또한 수학이 철학과 문명 발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새롭게 바라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동양 수학의 독창적인 사고방식과 그 실용성을 이해하면서
수학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야를 더욱 넓힐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