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누구나에게 있을 수 있는 '트라우마'의 손길, 영화와 함께 풀다.
깊은 자기 내면을 오랫동안 생각하다보면, 누구나 말하지 못할 슬픔과 고통의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누가 쉽게 내뱉은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 들이기에는 그다지 강하지 않았던 나이기에, 가슴 언저리에 못이 몇개나 박혀있기도 하다. 겉으론 강한 척을 해도 속으론 하염없이 약한것이 인간 아니겠는가. 맞다. 인간은 나약하다. 인간은 외롭고 나약한 존재라는 것을 안다면 우리는 남의 슬픔과 남의 고통을 아무렇지도 않게 말할 수 가 없다. 타인이 고통을 받고 있다면 그것은 비난거리가 아니라 '이해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그 마음속의 못들. 그것이 트라우마다. 다른 말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한다.
심리학 책을 그다지 많이 본 적은 없지만 '트라우마'에 대한 것은 어느정도 들어본 바 있다. 누군가의 삶에서 치명적인 사건이 발생 했을때 그것이 평생의 인생에 큰 불행을 만든다는 것인데, 가령 가족이나 지인의 갑작스런 사망, 천재지변, 성폭행, 강간, 폭행, 전쟁 등이 그 사건에 해당한다. 정말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들 뿐이다.
이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를 찾아서 스토리 설명 및 정신 분석학적으로 쉽게 풀어 쓴 책이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이다. 저자는 유명한 정신과 전문의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이런 정신 문제에 대해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책을 펴내고 싶어서 출간했다고 한다. 나에게도 영화가 상당히 친근한지라 기대를 가지고 살펴보았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영화를 말하는 책들의 경우, 내가 본 영화의 편만 골라서 본다. 아무리 전문가가 쓴 글이라고 해도 영화를 전혀 보지 않은 상태로 이해하는데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이번에도 목차에 있는 대로 본 영화들만 골라서 보았다. 트라우마의 정의와 그 원인과 증상, 치료에 이르는 짜임새 있는 구성이 꽤나 마음에 들었다. 원래 저자가 '쉬운 이해'를 위해 지어서인지 전문학적인 용어는 거의 등장하지 않고 아주 쉬운 풀이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오히려 처음에는 "이거 너무 뻔한 책 아닌가." 란 착각마저 일었다. 하지만 오히려 쉽기 때문에 어려운 '트라우마'에 대한 정신분석적 측면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잊고 있던 굵직한 영화들이 다시금 새록 새록 피어 올랐다.
신기하게도 여기에 소개된 영화들은 대다수가 내가 본 영화일 뿐만 아니라 으뜸으로 꼽는 영화들이 주를 이루었다. 밀양, 인형의 집으로 오세요, 21그램, 라비앙 로즈, 샤인, 미스틱 리버, 나비효과, 포레스트 검프, 굿 윌 헌팅, 미스 리틀 션사인 등이 그러하다. 절대 밝고 화사한 분위기와는 거리가 먼 영화들인데, 짜임새 있는 각본과 스토리 전개 그리고 배우들의 열연이 돋보인 수작들이기 때문이다. 이 모든 영화들은 저자가 말한대로 '트라우마'에 대한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어릴 때 경험했던 성폭력이 성인이 되어서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 부모에게 폭행당했던 천재 소년이 후에 어떤 트라우마에 갖히게 되었는지 영화를 이용하여 독자들에게 어필한다. 그래서 더 크게 공감이 갔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절대로 이 사람들이 될 수 없다. 직접 당해보지 않고서는 그 끔찍한 심정을 알 수 없다. 그래서 마지막 파트에 나오는 치료의 부분을 주의깊게 읽을 필요가 있다. 우리 주변이 그런 사람이 있다면 단순히 '긍정적으로 생각을 바꿔, 시간이 지나면 잊혀질꺼야. ' 란 말로 쉽게 생각하지 말고 진짜 따뜻한 사람이 당신을 생각하고 있다는 기분이 들게 해주는 것이 중요한 듯 하다. " 니 잘못이 아니야 " 라고 말해줄 수 있어야 한다.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책이 아닐런지. 정말 오점 없는 인생은 없다. 우리에게 죄책감, 부끄러움, 두려움, 불안감에 대한 감정이 남아있다면 부끄러워 하지 말고 조금씩 드러내보자. 그 용기가 당신을 치유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