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스며드는 아침 - 제139회 아쿠타가와상 수상작
양이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립을 외치는 중국의 민주화의 아침.

 

제작년 여름, 배낭을 메고 짧게 주어진 휴가를 맞이하여 북경으로 떠났다. 문화 유적 답사나 고대 도시 여행을 좋아하는 터라, 북경도 놓칠 수 없다 여겨 그곳으로 정했던 것이다.  북경은 중국의 수많은 역사가 그대로 살아 숨쉬는 역사적 도시이기 때문이다. 내가 갔을 때만 해도 베이징 올림픽 전년이기 때문에 한창 공사가 진행중이었다. 북경의 중심은 천안문과 자금성이 있는 곳으로 바로 연결되어 있다.  그중 천안문은 우리나라의 독립 기념관이나 3.1운동 시절을 떠올리게 만들었다. 민족과 독립, 그리고 투쟁이란 단어가 가장 어울릴 것 같은 곳이랄까. 양이의 소설 <시간이 스며드는 아침>을 읽었을 때 난 딱 이 여행했던 그날의 그 광장이 떠올랐다.

 

이 책의 기억은 1989년, 6월 4일 초여름 아침이다. 사실 이때의 역사적 사실을 잘 알지 못했는데, 우리의 5.18 민주화 항쟁, 6.10  항쟁과 같은 민주화 운동이 일어났던 것과 같은 날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주인공 하우위엔은  바로 이 시절의 젊은이로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고 있었다. 그에게는 열정과 자유가 몹시도 중요했던 것이다.  그는 중국을 사랑했다. 중국문학과의 그는 혁명 소설에 푹 빠져 중국인도 이렇게 인간적인 문학 작품을 쓸 수 있을까 하는 정도로 충격을 먹기도 했다. 하지만 문학을 알기 때문이었을까. 그는 주변 사람들의 사고방식이 불편하기 시작한다. 소설에서 보면 즈창이 테레사 텐의 노래를 두고 '퇴폐적인 음악의 침투력'이라고 표현한다. 사랑하는 감정이 느껴지는 것을 두고 '침투'라고 표현하다니. 이 단어 하나만으로도 중국 시대적 배경과 사람들의 심리를 단번에 읽을 수 있었다.

 

민주화에 대한 열망과 마찰, 소설의 곳곳에서 드러난다.  주인공은 엘리트에 꿈이 많은 대학생이었지만, 중국의 역사와 함께 하려하다가 점차 사그라졌다. 절망 속에서 그가 선택한 것은 일본인 고아 2세인 우매와 함께 결혼하여 일본으로 건너간 것이었다. 우리도 우리의 민주화 시절에 많은 이들이 미국으로 건너갔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느 나라이든 이런 뼈아픈 사연들이 뭉클거리고 있음이 안쓰러웠다. 그들이 그 이후에 어떻게 살아왔던 것일까. 이 소설을 통해서 우리는 짐작정도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소설은 일본의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했다. 어째서 중국인의 중국소설이 일본상을 수상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는데, 이 소설의 내용과 소설이 일본어로 쓰였다는 점과 아직은 '천안문 사태'에 대해 쉬쉬거리는 중국이라는 점을 가만히 살피다보면 금세 알 수 있다. 중국,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민주주의와 자유에 열광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는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