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 홀로 서면 외롭지 않다 -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나만의 진짜 인생 찾기
김이율 지음 / 한빛비즈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그저 ‘청춘, 홀로 서면 외롭지 않다’ 라는 책명이 시사하는 바가 궁금하다는 다소 단순하고 가벼운 이유로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었다. 사실 이런류의 자기계발적 성향이 짙은 도서들은 수도 없이 접해봤다. 그래서일까? 책을 읽기도 전에 대략적으로 어떤 틀로 구성되어 있을지 어떤 내용이 담겨 있을지 지레 짐작까지 해가며 오만함이 가득한 마음으로 책자를 펼쳤다. 예상은 틀리지 않았다. 목차에 보이는 것들이 대부분 예상했던 것들이었기 때문이었다. 허나 얼마지나지 않아 마음을 바꿔먹게됬다. 이 책을 처음 펼쳤을 땐 저자의 의중을 파고 들었다는 생각에 혼자 으쓱거리고, 우쭐한 마음을 가지는 다소 어리석은 상태였지만 책을 덮었을 땐 그저 무지한 독자 한명만이 남아있을 뿐이었으니까.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성층권까지 뚫어버리고 단 한번에 우주로 솟구쳐올라 위성을 펼칠 것만 같던 나로호와 같은 내 자신감은 솟은지 얼마되지않아 바닥으로 고꾸라졌다. 이책은 생각처럼 무겁고 추상적인 천편일률적인 도서가 아니었다. 분명 다른 이야기를 인용한 뒤 저자의 의견이 더해지는 형식의 글이었지만 저자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와 조언들이 담겨 있었다. 이러한 형식은 같은 돈가스를 먹더라도 맛 집 만의 특제 소스와 같이 특색있는 느낌이었다.
‘동굴안에서 우상을 모시며 살지마라’ 편에 ‘오만한 확신’ 이라는 타이틀로 구성된 내용이 있었는데, 이 장의 내용은 마치 나에게 하는 말 같이 느껴져 순간적으로 내 얼굴이 빨갛게 여물은 토마토가 된 것만 같았다. 저자는 퀴즈 TV프로그램을 즐겨보는 애청자라고 한다. 이 쯤 되면 예상이 가능할 것이다. 저자는 나름대로 지식과 상식을 고루갖춘 이 시대의 지식인이라는 오만함을 무의식 중에 가졌던 것 같다. 너무 과장된 표현일지 모르겠지만 그 만큼 퀴즈에 자신이 있었고, 도전자들이 쉽사리 풀지 못하는 문제들도 어렵지 않게 풀었왔었다고 한다. 그러던 어느날 퀴즈 프로그램에서 1등을 결정짓는 중요한 상황이었는데, 마침 그 문제가 저자가 아는 문제였었단다.
문제는 이랬다.
‘친구 프란츠크니그 슈타인의 도움으로 미술 공부를 할 수 있었고, <기도하는 손>이란 작품을 남긴 화가가 누구인가?’ 였다고 한다.
저자는 이 문제의 답을 밀레라고 확신하며, 마지막 문제에 쩔쩔 매고 있는 두 출연자를 비아냥하며, 느긋하게 정답을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정답이 공개된 후 저자의 우쭐거림은 온대간대 없이 뒷통수를 얻어맞은 듯 했단다. 정답은 ‘밀레’ 가 아닌 ‘뒤러’ 였기 때문이었다. 저자는 테오도르루소의 도움을 받은 ‘밀레’ 와 프란츠크니그 슈타인의 도움을 받은 ‘뒤러’를 혼동했던 것이었다. 이 부분에서는 마치 내가 이 책을 접하기 전에 나를 보는 것만 같았다. 저자 말따나 혼자 있었기에 망정이지 누구와 같이 있었다면 얼마나 창피했을까?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한다. 또한 혼자하는 일 다른 이의 힘을 빌리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문제를 보다 손쉽게 해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말한다. 서로 상부상조 하는 도움을 주고받을 것이 아니라면 ‘남의 지식을 탐하지 말라’ 라고, 또한 상대방에게 의지하기도, 비교하기도, 초조해하지도 말라고 한다. ‘외로움은 홀로 서지 못했을 때 깊어진다.’ 는 말 또한 인상적이었다. 이것을 두고 필자와 같이 여러 비슷한 서적들을 접한 독자들은 “누구는 멘토를 구해서 상부상조하라.‘ 라고 하고 또 누구는 ”홀로 서서 이겨내야 한다.“ 며 투덜거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 내용을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것은 독자의 몫에 달려 있다. 혼란스러움 속에서 나에게 필요한 내용을 받아들이고, 깨달음을 얻는 것은 스스로의 몫이지 저자의 몫이 아니까.
저자가 말하는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나만의 진짜 인생 찾기‘ 라는 타이틀처럼 이 책을 통해 나만의 것을 계획하고 깨닫는 시간을 갖게 되어 다행이었다. 무엇이든 인생은 항상 깨달음의 연속인 것 같다. 무엇이든 100% 한치 일말의 오차도 없이 완벽한 것은 없으니까, 그저 더 나은 나를 만들어나가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인생일테니 말이다. 이젠 ’청춘, 홀로서게 되어도 외롭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