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어느 봄날 선물 받았던 '7년의 밤'. 이미 출간된지가 꽤 된 책이었다. 허나 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았던 나에겐 따끈따끈한 신작일 뿐이었다. 그 당시 '7년의 밤' 을 접하면서 정유정작가도 처음 알게 됬었다. 사실 소설책을 즐겨보지 않았지만 과거 '로빈슨 크루소' 라는 소설을 굉장히 재밌게 읽은 기억덕분에 밑져야 본전이라는 심산으로 읽게 된 책이었는데, 이것이 계기가 되어 지금도 꾸준히 책을 읽어나가고 있으니 '7년의 밤' 이라는 책을 선물해주신 지인분께 항상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7년의 밤'의 숨막히는 전개와 빈틈없는 완성도는 '28' 이라는 정유정 작가의 신작에 기대감을 갖기 충분했다. 허나 일각에서는 "신작 '28' 이 전작 '7년의 밤' 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라는 의문부호를 표하는 의견들이 분분했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나에겐 '명불허전' 이라는 말이 떠오를 정도로 여전히 숨돌릴 틈 없는 폭풍같은 전개로 진이 쏙 빠진 느낌이었을 선사했으며,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변종' 이라는 소재로 큰 재미를 느낄 수 있었기에 어찌 만족하지 않을 수 있으랴.
물론, 소재 자체가 '7년의 밤' 처럼 흔하거나 신선하지 않다고 느끼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필자가 이 세상에 발을 디디기 전이었지만 이미 일어났던 사건들의 소재와 이야기를 빗대었다는 점, 또한 자연과 연계되어 발생한 변종 물체와 변종 질병이라는 소재는 이미 영화 '괴물', '연가시' 등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에 항상 새롭고 신선함에서 오는 충격을 원하는 대중들에게는 이야기의 반복으로 와닿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작품 그 자체 또한 비슷한 소재지만 새로운 내용인 이야기 전개를 보며 "책은 읽는 사람이 어떤 마음을 먹느냐" 즉, 책을 접하는 자세에 달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28에서도 느껴지듯 여전히 정유정작가 작품의 특색이 고스란히 묻어나오는 책이라는 느낌에 '2년 3개월' 만에 출간된 신작이었지만 "살아있네!" 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였으니 말이다. 허나 돌이켜보면 나 또한 책이 출간되기전 적지 않은 사람들이 그랬던 것 처럼 7년의 밤을 기준으로 신작과 비교 평가를 하고 있었는데, 난 그 당시 '7x4=28 이니까, 4배 더 재밌을 것이다.' 라는 단순한 생각을 갖고, 주변의 우려를 불식시켜줄 것이라는 생각했다. 물론, 예상과는 조금은 차이가 있었지만 분명한 것은 신작 '28'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읽어봐야 하는 '흔치 않은, 보기드문' 소설이라는 점이었다.
최고의 자리에 오른 사람은 그 자리를 지키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며, 타인의 관심에 무척이나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28' 의 흥행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지 않았나 싶다. 물론, 그 사람들의 우려처럼 아쉬운 점도 있기 마련이었다. 하지만 사람은 완벽할 수 없고, 난 그 아쉬움에서 정유정작가에게 느끼지 못했던 인간미를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아쉬움이 있기에 정유정 작가의 후속 작품이 기대되는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7년의 밤' 이라는 최고의 작품을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사실 '7년의 밤' 이야 말로 28의 소재와 같은 '변종' 과 같은 책이기 때문에 보다 열린 마음으로 '28' 접한다면 더 큰 재미를 느낄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