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인문학 - 동해·서해·남해·제주도에서 건져 올린 바닷물고기 이야기
김준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인문학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바다 그 중에서도 물고기 이야기를 담고 있다.

 

물고기와 인문학

뭔가 어울리지 않는 느낌도 나는데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나라 동해, 서해, 남해뿐 아니라 제주도 인근까지

주로 잡히는 어종을 통해서

역사와 문화,

그리고 그 물고기를 삶의 원천으로 하는 사람들의

모습까지 잘 담아내고 있다.

 

" 민어(民魚) "

비싼 가격에 자주는 먹지 못하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국민들이 즐겨찾는 횟감 중 하나이다.

 

물고기 이름에 백성 민(民)자가 자리를 잡고 있다.

이름 그대로 국민 물고기!

 

그런데,

민어는 이름과는 반대로

백성들이 쉽게 먹을 수 있는 생선이 아니었다.

 

숙종이 80세 생일을 맞은 송시열에게 하사한 것이

민어 20마리였을 정도로 귀한 생선이었다.

 

일정강점기에도

조기 10마리에 20전이었는데,

민어 한마리가 20전이었다고 하니까

이름과는 사뭇 괴리가 있다.

 

명태!

우리가 아는 명태의 이름은 몇 개일까?

 

일단 흔한 이름부터 보자.

명태, 동태, 북어, 황태, 노가리, 흑태, 코다리 등이 있다.

 

이렇게 많은 이름을 가졌지만, 이건 새발의 피다.

함경도에서는 망태, 조태, 왜태, 애기태, 막물태, 은어바지, 동지받이, 섣달바지가,

강원도에서는 선태, 간태, 강태가,

서울에서는 강태, 더덕북어가,

강원·경기 이남에서는 동건태를 북어라고 불렀다고 한다.

 

또한 잡히는 시기에 따라

춘태(봄), 사태(4월), 오태(5월), 막물태(끝물), 동태(겨울), 동명태(동짓달)

라고 불리우고 있고,

 

이외에도 크기, 잡는 방법 혹은 건조상태에 따라

앵치, 꺽태, 망태, 조태, 염태, 간명태, 영태, 흑태, 엮걸이 등

 

명태는 이루 말할 수 없을만큼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고,

이 이름수만큼 다양한 맛과 음식의 모양으로 우리가 즐기고 있다.


 

또 한편으로 재미있는 점은 이 '명태'의 어원이다.

 

명천에 태씨 성을 가진 어부가 있었는데,

어느 날 낚시로 물고기 한 마리를 잡아

아랫사람들을 통해 도백(관찰사)에게 드렸는데.

이를 먹은 도백이 맛이 좋아

아랫사람들에게 물어봐도

물고기 이름을 모두 모른다고 했다.

 

그러자, 도백은

"명천의 태씨가 잡았으니, 명태라고 이름을 붙이면 좋겠다"

라는 이야기를 통해서 이름이 명태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이 이야기도 여러가지 어원 중 한 가지이지만

상당히 일리있고 재밌는 일화로 들린다.

 

이처럼 이 책에는

우리가 즐겨먹는 각종 생선들에 내용과 더불어

이를 잡고, 음식으로 만드는

어부들의 삶과 애환이 같이 녹아있는 책이다.

 

조기나 명태의 삶이 인문학적으로 다가올 수는 없겠지만,

우리가 느끼는 모든 환경과 생활이

인문학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우리가 맛있게 즐기는 생선들에 대하여

좀 더 많은 지식을 알게 되어 맛을 더 깊게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가치가 있지 않을까 한다.

 

한 마디로 바다를 맛있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