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갈량, 그와 다시 마주하다 - 우리가 몰랐던 제갈량의 본모습을 마주해보는 시간
류종민 지음 / 박영스토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중국의 역사에 대하여 제일 친숙하게 알고 있는 부분을 이야기하라고 하면 많은 이들이 '위·촉·오'로 이루어진 중국 삼국시대를 이야기한다.

 

그렇지만, 나를 비롯하여 많은 이들의 머리 속에 있는 중국의 삼국시대는 역사서에 나오는 정보라기 보다는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라는 소설의 내용을 대부분 실제 역사인 것으로 알고 있다.

 

우리에게는 『삼국지연의』보다는 『삼국지』로 더 친숙하게 알려져 있고,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하여는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부분도 있지만, 이 책 자체가 소설이기에 허구인 부분도 상당량 섞여 있다고 한다.

 

우리가 아는 '삼국지'에 등장하는 인물은 너무나 익숙하다.

유비와 조조, 관우와 장비, 제갈량과 방통, 그 외에도 사마위, 등애, 마속 등 이루 말하기도 어려운 많은 이들이 소설과 실제 역사서에 등장하고 있지만, 이 책은 그 중에서도 '제갈량' 즉 '제갈공명'('공명'은 제갈량의 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는 실제 역사와 소설 삼국지에서 비추고 있는 '제갈량'의 모습이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그럼 우리가 알고 있던 제갈량에 대한 이야기와 실제 역사에서 전하는 이야기의 차이는 무엇일까?

 

'삼고초려(三顧草廬)' : 유비가 스무 살이나 어린 제갈량을 등용하기 위해서 세 번이나 직접 제갈량의 초가 오두막을 찾아갔다는 이야기

 

일부는 이는 소설에서 나오는 허구라고 하지만, 실제 역사서에서도 삼고초려에 대한 이야기는 실제로 나오고 있다.

한 나라의 군주가 되고자 하는 이가 자존심을 버리고, 세 번이나 인재를 등용하기 위하여 직접 찾아가는 이 이야기는 지금도 경영이나 정치에서 자주 인용되는 실제 사실인 것이다.

 

'수어지교(水魚之交)' : 유비와 제갈량의 정이 깊어지자, 이에 관우, 장비 등의 무신들이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자 '내가 공명을 얻은 것은 물고기가 물을 만난 것과 같다'고 이야기한 데서 나온 말

 

유비와 관우 그리고 장비는 소설 삼국지에서 '도원결의'를 할만큼 신뢰하는 관계였지만, 유비가 제갈량에 대하여는 이에 뒤지지 않게 신뢰했음을 보여주는 사실로 '도원결의'는 소설 속에만 나오는 이야기인 반면에 '수어지교'는 역사서에 등장하는 이야기라고 한다.

 

'읍참마속(泣斬馬謖)' :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으로 제갈량이 아끼고 좋아했으며, 자신의 후계자로 생각했던 마속이 자신의 지시를 어기고 전장에 임한 결과로 패배를 하게 되자 대의를 위해서 측근이었지만, 군령을 어긴 마속을 울면서도 처단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제갈량이 정치와 군대통솔의 기준으로 삼았던 법치와 규율을 어떻게 집행해 왔는지 가장 잘 알수 있는 부분으로 대의를 위하여 리더가 어떤 행동을 해야 되는지 알려주고 있다.

 

이 외에 제갈량과 관련된 허구적인 요소를 보면 조조와의 일전인 '적벽대전'에서 짚으로 만든 배를 이용하여 10만개의 화살을 얻고, 동남풍을 불게 했다는 이야기 등은 소설에서만 나오는 이야기이고, 실제 역사서에는 화살은 전혀 언급이 없고, 바람이 동남 쪽으로 불었다는 이야기만 전해주고 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의 제갈량의 모습이 비록 실제 역사서에서 전해주는 제갈량과 차이가 일부 있다 하더라도, 중국 역사를 통들어 최고의 전략가이자 정치가, 장군 중 한 명이 제갈량이었다는 점에서는 아무도 부정하지 못할 것이다.

 

지금도 정치와 경영에서 지침서의 하나로 이용되는 제갈량의 전략과 전술들은 앞으로도 후대에 길이 전해질 것이 분명하고, 이 책을 통하여 허구와 진실을 찾아본 다는 것만 하더라도 좋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아쉽다면 저자가 전해주고자 하는 너무 많은 이야기가 한 권의 책에 집약되다보니 작은 글씨와 빼곡한 활자가 조금은 지루하게 만드는 감이 있었는데, 아예 2권의 책으로 만들든지, 아니면 좀 더 집약해서 글자수를 줄여보는 것은 어떨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