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퀀트투자 - 수익률을 확인하고 투자하라!
홍용찬 지음 / 이레미디어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성인 특히 남성들의 대부분은 주식투자를 한 번씩은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 때 살 주식을 선택하는 기준이 뭘까?

기업의 재무제표, 산업환경, 경제환경 등을 감안하는 기본적 분석이나 주가의 등락과 추이를 감안하는 기술적 분석을 통해서 선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당수는 뉴스나 소문 혹은 지인이 들었다는 비밀이야기에 따라 선택을 하는 경우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소문이나 이슈든 혹은 각종 분석 기법에 의하든 각자의 방법으로 주식 투자에 나서 보지만 그 결과는 투자방법보다는 결국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사실 직장인들의 거의 대부분이 주식시장에서 돈을 잃지만...)

 

사실 역대 수익률을 보더라도 개인투자 이른바 개미투자가가 기관투자가나 외국인보다 수익률이 더 좋았던 적은 거의 못 본 것 같다. 하지만, 그런 과정에서도 어떤 사람은 그다지 특별한 노하우나 주식투자 기술이 있어 보이지 않는데도 주식 투자에서 상당한 수익을 챙기는 그런 사람들도 가끔 볼 수 있다. 이른 바 주식투자에 감각이 있는 사람들이다.

 

반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 감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투자의 귀재들이라고 하는 여러 사람들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해 보기도 하고, 혹은 비싼 돈과 시간을 할애하여 주식투자비법에 대하여 공부를 해 보기도 하지만 효과를 내기는 쉽지 않다.

 

그런 사람들에게 필요한 주식투자 방법이 바로 이 책에서 소개하는 계량투자 퀀트투자이다. 퀀트투자수학·통계에 기반을 둔 모델을 통해서 기업가치 분석 및 종목 선택과 비중 등 의사결정을 하는 주식 투자 방법을 이야기 한다. , 주관적 판단을 완전히 배제하고, 객관적인 것만을 이용해서 투자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주식을 살짝 알고 있는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보는 지표 중에 PER(주가수익비율)가 있다. 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이 값이 업종평균보다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 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매수 종목 선정 시 이용하는 대표적인 주식관련 지표 중 하나이다.

 

통상적인 지식으로는 저PER주가 당연히 투자 수익률이 좋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과연 그것이 맞을까?

 

그래서, 이 책의 저자가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총17년 간 우리나라의 코스닥, 코스피 주식 중 당기순이익이 흑자이고, 완전 자본잠식이 아닌 기업들을 6월 마지막 거래일에 1년에 1회씩만 거래(동일 투자금액으로 대상 종목만 교체)한다고 가정하고, PER 순위를 20분위로 나누어 수익률을 평가해 보았다.

 

결과는 어떨까?

PER가 가장 낮은 그룹은 17년 동안 연평균 복리 수익률이 무려 14.91%로 나왔다. , 최초 원금 1천만 원이 17년 뒤에 1619만원(단순하게 계산하면 무려 1,619%)이나 된다는 것이다.

반면에 가장 높은 PER를 나타냈던 그룹은 동일기간 동안 ?0.84%로 나타나 물가상승률은 고사하고 원금도 안 되는 비참한 결과를 초래했다.

  

  

쉽게 생각하면 복잡하게 이것저것 생각하고, 분석하지 말고 코스닥과 코스피의 저PER 순위 5%에 들어가는 주식 사 놓고 일 년에 한 번씩만 대상 종목들만 교체해 주면(1년마다 당기순이익이 확정되므로 1년마다 연도말 PER의 순위가 변동) 고수익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 PER와 함께 주식 시장에서 종목 선택 시 흔히 이용하는 ROE( 자기자본 이익률, 당기순이익/평균자본 )는 어떨까?

흔한 지식으로는 ROE는 높을수록 좋다고 알고 있는데, 실제 17년간 통계를 보았더니 생각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ROE가 높은 기업보다 낮은 기업이 수익률이 좋게 나오고, 그것도 낮으면 낮을수록 더욱 수익률이 좋게 나온다는 것이다.

완전히 상식을 뒤엎는 결과가 나왔다. 적자가 아니라면 ROE가 낮은 기업들이 수익률에서 훨씬 좋았다는 것이다.

  

  

그럼 당기 순이익과 영업이익이 흑자인 기업과 적자인 기업은?

배당수익률은 높은 곳이 좋은지 낮은 곳이 좋은지?

PER과 함께 최근에 자주 이용되는 PSR, PCR, PSR 등의 지표에 따른 투자 수익률은?

 

한술 더 해서 이런 의문도 있다.

주식을 산 요일에 따라 수익률에 차이가 날까?

주식시장 개장시점에 사는 게 좋을까 아니면 폐장 시점에 사는 게 좋을까?

연초와 연말 어디가 더 투자하기 좋은 때일까? 등등

 

이렇게 다양한 투자 지표들과 누구나 가지는 의문을 과거의 통계들로 분석해서 그 결과 값과 함께 그 결과를 이용하여 투자를 하는 적절한 방법 등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참 흥미로운 책이라고 본다. 특히, 나 같이 주식에 특별한 감각이 있다고 보기 어려우면서도 주식에는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이런 분석적 방법으로 객관적인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 중의 하나라고 보인다.

 

다만, 이 책의 저자도 이야기하듯이 이 퀀트투자는 짧은 시간에 하는 투자가 아니다. 아주 긴 시간동안 다른 것에 휘둘리지 않고 처음에 했던 기준에 의거해서 투자를 지속한다는 전제가 있는 투자 방법이다.

투자기간 중간 중간에 다른 변수들도 있겠지만,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종목만 교체하면 원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아주 간단하면서도 과학적인 주식투자방법을 우리도 한 번 해보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