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뱅에서 인류의 미래까지 빅 히스토리
이언 크로프턴 & 제러미 블랙 지음, 이정민 옮김 / 생각정거장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문득 헷갈린다. 이 책은 과학책인가? 역사책인가?
'빅 히스토리'란 우주, 지구, 생명, 인류의 역사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며 하나의 일관된 이야기로 이해하려는 시각이다
그래서 이 책의 맨 첫 장은 우주역사 138억년을 1년으로 환산한 달력이 있다. 이 달력에 의하면 인류의 역사는 12월 31일 오전 10시 쯤 유인원과 원숭이가 분화되기 시작하고 밤 11시 59분에 콜롬버스는 신대륙을 발견하게 된다.
전부 6개의 챕터로 우주의 탄생부터 현생인류의 현대사를 아우르는 이야기가 망라되어 있다.
빅스토리를 담고 있지만 다양한 사진 자료가 첨부되어 있고 군더더기 없는 깔끔한 문체로 객관적 사실을 전달 하고 있어서 읽기가 수월하고 내용 이해도 잘 된다.
예를들어 덴마크에서 발견된 신석기 시대 "포르스모스 인간'의 화살촉이 꼿혀 있는 두개골 사진이나 아래의 실크로드 무역경로 지도 와 같은 다양한 시각자료가 본문의 이해를 도와준다.
각 챕터의 맨 첫 장은 연도별 정리가 되어 있다.
우주의 빅뱅에서 탄생한 조그만 별 지구에서 하나의 세포에서 시작되었을 생명은 인류를 진화시켰고 문명을 갖게 된 인류는 농업혁명 이래로 발전의 속도를 가속해 오면서 오늘 날에 컴퓨터의 발명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정보혁명으로 자유와 통제에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생명과학은 인간 복제가 가능한 지경에 이르렀고 뜨거운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다. 최근 발전한 나노기술은 의학에 적용되면 후인간적 존재(Posthuman beings)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
그밖에도 인류는 정치적, 문화적, 인구문제. 환경 문제등 많은 문제에 직면해 있음을 이 책에서는 지적한다.
우주과학에서 시작해서 진화론 으로 가다가 인류가 문화를 갖기 시작하면서 부터 역사학이다.
이 책을 역사학의 범위에 넣기에는 다루는 범위가 너무 광대하다. 그리고 결국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고 발생할 문제를 해결해 보려는 것이 이런 학문의 목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과학책에 넣기로 했다.
더 많은 미래라는 시간을 가진 청소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