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행복 수업 - 왜 세계 최고 지성들은 행복 수업을 듣는가
유키 소노마 지음, 정은희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저자 유키 소노마 는 사람들이 물질적 부만 좇는다면 오히려 행복에서 멀어질 것이라는 우려로 하버드 뿐만 아니라 여러 행복에 대한 연구자들의 연구를 인용하여 일을 통해 행복해지는 방법을 다섯 가지 영역에서 접근한다.

1. 행복을 이끄는 성공의 기술

2. 행복을 유지하는 소비의 기술

3. 하고픈 일을 발견하는 경력 관리의 기술

4. 행복한 삶을 만드는 목표 설정의 기술

5. 행복을 습관으로 만드는 행동의 기술

 

행복이란 충만한 즐거움과 삶의 의미를 함께 느끼는 경험이라는 벤-샤하르의 정의를 다시한번 풀이해 보면, 즐거움(=현재의 이익)과 의미(=미래의 이익) 두 가지 요소가 동시에 충족되는 상태를 뜻한다. p41

이 책의 요지는 분명하다. 행복은 경제적 여유의 순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통해 자아를 성취할때 행복하다 는 것이다.

그래서 일본에서 경력 개발 전문가인 저자는 행복은 만족스러운 일을 할 때도 느낄 수 있다고 보고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는 일을 찾을 수 있을까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래서 벤-샤하르가 라이트워크(Right Work)를 찾는 작업을 위해 MPS프로세스라는 방법을 소개하기도 하면서 자신이 잘하고 좋아해서 결국 그 일을 함으로 행복할 수 있는 직업을 찾는 방법도 제안하고 있다.

 

요즘 우리나라에서 대2병이 유행이라고 한다. 꽃같은 중고등학교 시절,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하고 싶어하는지, 잘 하는지도 모른체 공부만을 강요 받아 대학에 입성한 젊은 이들이 대학만 가면 행복할 줄 알았는데 대학생이 되서도 별다른 보상이 없이 또 다른 취업 준비에 내몰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신을 돌아볼 틈도 없는 어린 학생들은 또 다시 자신을 돌 볼 틈이 없이 어른이 되면서 상처가 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 책은 하버드랑은 별로 관계가 없다. 게다가 하버드최고의 수업이라는 표지의 은색별은 마치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처럼 대학교수의 강의로 집필 된 것으로 착각하게 할 수 도 있다. 그런면에서 제목이나 표지는 과한 부분이 있다. 그러나 젊은이들이 보다 행복한 자신의 일을 찾길 바라는 경력자의 경험이 녹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