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대 합격생 방학 공부법
박소정.서울대 합격생 20인 지음 / 꿈결 / 2017년 1월
평점 :
학원가에서는 예비고1에게 3학년 기말고사가 끝난 시점부터 입학하기 전 3개월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며 불안해하는 학부모들에게 수강신청서를 내밀곤 한다.
학원의 프로그램들을 열심히 들여다보지만 도대체 어디까지 선행을 해야되는거고 과학탐구는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하는지 망설이다 보면 시간이 후닥 가버린다.
이 책은 서울대 합격생 20인의 생생한 목소리가 담겨 있는 방학 이용 비결이다.
일반고, 특수목적고, 자사고 출신으로 저마다 배경은 다양하지만 서울대학교에 입성한 학생들이 자신들의 경험들을 너무나 솔찍 하고 진솔하게 풀어놓고 있다. ‘교과서만 봤어요’ 식의 상투적인 대답은 없다.
중학교 1학년 여름방학에서 고등학교 3학년 방학까지 이 학생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계획과 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해리포터같은 영어책을 3번씩 꾸준히 읽는다거나,
영어단어책을 몽땅 읽어버린다든지 영어공부 방법도 다양했다.
수학은 한석원선생의 인강을 들었다든지, 구체적인 강사 이름과 [메가스터디N제] . [센] 이라든지 [블랙라벨]을 풀었다는 등 푼 문제집이나 방법을 서슴없이 애기하고 있다.
그래서 20명의 이야기를 보다 보면 자신과 비슷한 스타일의 학생을 찾을 수 있고 그 방법을 따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공부방법이나 계획은 저마다 다양했지만 공통점도 찾을 수 있다.
방학에도 일찍 일어났다. 평상시와 비슷한 시간으로 일어나고 공부하고 잠을 잤다.
그리고 자신에게 맞는 공부 방법을 찾으려고 했고
학원을 다니더라도 자기가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다.
책을 많이 읽었다. 어떤 학생의 경우 책 읽는 게 휴식이었다는 데,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공부 역전의 마지막 기회가 있다면 중학교 3학년 겨울방학이다.’ 이구동성으로 중학교 3학년 겨울방학이 중요하다고 한다.
부록으로 국.영.수 방학계획 로드 맵이 있어서 어떤 계획을 세우면 좋을지 기준을 잡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