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계약론 - 쉽게 읽고 되새기는 고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청소년 권장도서 선정 클래식 브라운 시리즈 5
장 자크 루소 지음, 김성은 옮김 / 생각정거장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아무리 좋은 책이라고 해도 너무 어려우면 책을 읽는 눈이 되돌이표를 반복하게 되고 결국 포기하게 되고, 너무 쉬운 책은 건성으로 읽어서 그 안에 보석이 숨겨져 있다한들 놓치고 만다. 그래서 최근 알게된 책중에 생각정거장에서 나온 클래식 브라운을 좋아하게 됬다.

이제 겨우 5권이 나왔는데 어려운 고전을 청소년 눈높이로 쉽게 설명하고 있다, 즉 내 독서등급은 청소년급 이란 부끄러운 고백일 수 있지만 딱 두께며 구성이 읽기에 부담이 없다.

이번에 새로 나온것은 장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중심으로 김성은이 현대적인 관점에서 이야기하고 있는데 <들어가며>를 읽으면서 이미 심한 공감을 하고 있었다.

무능력한 지식인이라는 맥락에서 보면

18세기 절대군주가 지배하는 프랑스에서 루소 역시 무능력한 지식인이었다.

그러기에 그는 나는 군주도 아니고 입법자도 아닌데 이런 글을 대체 왜 쓰는 걸까?” 라고 스스로에게 묻기도 한다.

내 의견이 국가의 공적인 일에 미칠수 있는 영향력이 아무리 미약하다 할지라도, 자유 국가의 시민으로 태어나 주권자의 한 사람으로서 투표권을 갖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정치에 대해 알아야 할 의무를 당연히 지닌다.p20”

 

그 시대에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었다니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루소는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로 태어나지만, 어디에서나 쇠사슬에 묶여 있다라고 한다. 쇠사슬의 의미를 저자는 다른사람들이라고 한다. 다른 사람들과의 계약에 의해 사회의 체제가 결정되었다는 것이다. 사회질서는 계약에 의해 이루워져 있으며

어떤 사람도 다른 사람들에 대해 하늘이 내려 준 권력같은 것을 갖지는 못하므로, 그리고 힘이 세다고 해서 어떠한 권리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사람들 사이에서 정당한 권력의 토대가 될수 있는 것은 오로지 계약뿐이다.p35” 라고 주장한다.

 

사회가 존재하는 것은 인류가 만장일치로 동의를 했기때문이라고 전제하고

우리는 저마다 자신의 신체와 모든 힘을 공동의 것으로 만들어 일반의지라는 최고 지휘권 아래에 두며, 우리 모두는 한 몸이 되어 각 구성원을 전체에서 분리될 수 없는 부분으로 받아들인다.p43”

 

전체의지와 일반의지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일반의지가 공동의 이익만을 신경 쓰는 반면, 전체의지는 개인의 이익에 신경을 쓰는 개별의지들의 총합 일뿐이다. 그러나 이런 개별의지들에서 서로를 상쇄하는 넘치거나 부족한 의지들을 빼면 상이한 의지들의 합으로서 일반의지가 남는다.p70”

 

201612월 토요일이면 많은 사람들이 광화문 광장에 모여 대통령하야를 외친다. 그리고 한쪽에서는 대통령을 옹호하는 사람들이 집회를 열고 있다. 아마 이런 것이 전체의지라는 것일 것이다. 국회에서 정당들이 하는 행태는 더 극명하게 전체의지에 따라 행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루소의 대단한 점은 정당이라는 것도 없던 시대에 이러한 부분까지 생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일반의지가 명확하게 표현되기 위해서는 국가 내에 부분적인 집단들이 없어져야 하고, 시민들이 각자 소신에 따라 의견을 밝혀야 한다.p74”

 

아마 소크라테스가 추구했던 선의 단계에 개개인들이 도달해 있다면 개개인의 의견은 일반의지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루소도 그점을 인식하고 있었던 듯하다.

 

만약 부분적인 집단들이 존재한다면, 솔론과 누마와 세르비우스가 한 것처럼, 그 집단들의 수를 늘려 불평등을 미리 막아야한다.”

 

다양한 집단에 의한 의견의 중재를 차선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아무래도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제대로 찾아 읽어봐야 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