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 스캔들 - 조선을 뒤흔든 왕실의 23가지 비극
신명호 지음 / 생각정거장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스캔들은 좋은 이야기가 아니라 나쁜 이야기다.
하필 스캔들을 다룬 이유는 그들의 스캔들을 통해 보고 듣는 이들에게 재미와 교훈을 주고 싶었기 때문이다"(저자 서문 중에서)
저자 서문에서 밝혔듯이 조선왕실의 23가지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잘못된 길에 발을 들인 군주들,
왕과 세자, 그 지독한 부자의 악연.
권력이 만들어낸 왕실의 비극
궁중 여인들의 기막힌 일생
외세 앞에 무기력했던 지도자들
이라는 다섯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왕조 실록이 번역되면서 조선 왕실의 이런 저런 애기들이 소개되는 책도 많아지고 있고 영화나 텔레비젼에서는 매력적인 왕들이 나온다.
이 책에서는 그리 매력적이지 않은 왕실 이야기다.
성군으로만 알려져 있는 세종을 [왕과 세자, 그 지독한 부자의 악연]편에서 만나게 된다. 이런 부분이 이 책의 독특한 부분일 것이다.
세종 에게는 8명의 대군이 있었고 그 막내였던 영응대군에 대한 편애로 영응대군의 혼인과 이혼, 재혼을 비상식적으로 밀어 붙여서 단종의 비극까지 불러 오게 됬다고 한다. 실록을 근거로 하긴 했지만 저자의 해석에는 그리 공감이 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늙은 왕이 막내대군에게 '너는 아버지라 부르라' 라고 했다든가 하는 애기는 세종의 인간적인 면을 알수 있다.
정조 하면 조선의 중흥을 이끌었던 현군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영화에서는 항상 암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외로운 군주의 모습이었다.
그런 그를 이 책에서는 [잘못된 길에 발을 들인 군주]장 에서 소개한다.
먼저 그가 <<존현각일기>>, <<일성록>>이라는 개인 일기를 써왔고 기념비적인 기록 문화를 남겨 왔다는 사실을 전한다. 그리고 그가 이렇게 기록을 강조한 이유를 정치적 불안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쓰기 시작한 일기 습관이 결정적이라고 한다(p57) 그런 그가 정치적으로 불리한 기록은 말살하기도 하고 개작하기도 함으로써 <<승정원 일기>> 같은 공식 기록의 권위와 신뢰성을 크게 약화시켰다 (p58) 고 한다.
이 책의 [궁중 여인들의 기막힌 일생]중에서 인목대비가 재물에 대한 욕심이 많았으며 그로 인해 영창대군이 사사되고 인목대비는 서궁에 유폐되었다고 한다. 대부분 서궁유폐사건을 광해군이 왕위에 대한 불안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는데 인목대비의 재물욕은 처음 들어보는 것이라서 신선했다.
광해군의 실정에 인조반정이 일어나고 광해군과 그 왕비 유씨와 세자와 세자빈은 모두 유배를 가게 되고 폐세자와 폐세자빈은 굶어 죽었다고 한다. 제목만 보고 죄인이라 하여 음식이 제공되지 않았는 줄 알았는데....그들이 스스로 물 한방울 마시지 않고 죽기를 자처한 것이었다. 자살을 시도하던 그들은 실패하자 일부러 탈출을 시도하고 폐빈은 결국 자살하고 폐세자는 자진처벌을 받고 목을 매 죽었다고 한다.
“ 속세의 흥망성세는 사믓 미친 물결 같으니
걱정한들 무엇 하리?
마음스스로 평안하다
26년의 내 인생이여, 참으로 한바탕 꿈이어라
나는 기꺼이 가리라, 흰구름 사이로“
강화도로 끌려가며 배 위에서 지은 폐세자의 시조를 읽으니 인조반정이 성공하지 않았다면 만날 수 있던 또 하나의 임금이 아니었을까 아쉬움이 든다. 폐세자가 죽고 폐비윤씨는 아들이 죽은 101째날 죽었다고 한다. 사인은 병사였으나 사실은 굶어 죽은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들의 입장이라면 나역시 그러했을 껏 같은데 저자는 단호하게 목숨을 버리는 것은 정당화 될 수 없다고 애기한다.
이 책의 각각의 스캔들 말미에 저자는 교훈을 써 놨는데 그 또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외세 앞에 무기력했던 지도자들 장에는 고종과 박영효등의 스캔들이 소개 되어 있다.
작가의 근거있는 맨얼굴의 이야기를 직접 읽어보길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