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대문 : 사서 편 - 인생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들에 대한 동양고전의 답 고전의 대궐 짓기 프로젝트 1
박재희 지음 / 김영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숭례문을 열고 대로를 지나면 광화문이 나온다.

광화문을 따라 들어가면 경복궁이 그 위용을 들어낸다.

문을 지나고 문을 지나고 문을 지나면 왕이 앉아 있는 근정전에 도달하게 된다.

 

이 책(고전의 대문)은 나와 고전을 연결하는 가장 바깥 문이다.

고전의 대문을 하나 열고 들어가면 또 다른 고전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나 그 고전을 또 열고 그렇게 계속 공부를 하다보면 진정한 나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일까?

저자는 서문에서 ' 내안에 있는 위대한 하늘다움, 흥 을 끌어내서 흥의 혁명 이 일어나야 새로운 미래와 만날 수 있다,' 고 하면서 ' 내 안에 잠재된 흥을 끌어내는 대문' 으로 고전의 대문을 열었다고 한다.

그리고 오늘 나는 이 고전의 대문의 문을 두드렸다.

 

이 대문은 사서(四書) , 대학, 논어, 맹자. 중용으로 이뤄져 있는데 .

당나라에서 송나라로 전환되는 시기에 朱子(주희)가 불교의 신비주의와 내세주의를 대신 하기 위해 유교를 부흥시키며, 유교경전에서 네 권의 책을 뽑아 四書라 한것으로

새로운 인본주의 문명을 끌고 갈 새로운 지도자의 리더십을 대학에서, 새로운 지도자의 삶의 방식을 중용에서 찾았다고 한다.

대학에서 인간이란 어떤 존재이며 나의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가 공부를 했다면 논어 맹자는 우주의 주체자로서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다루는 것이다.

 

이 책은 사서를 하나 하나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하나의 큰 무늬를 그릴 수 있도록 사서에서 내용을 뽑아서 정리했다.

각 고전에서 필요한 한자원문과 그 해석을 인용하고 강의를 하는데 주자의 해석보다 현대의 시대와 상황에 맞게 저자가 재해석한 부분이 많은데 나도 모르게 줄을 긋다 못해 노트에 정리하고 싶은 충동이 일었다. (아 이 주체할 수 없는 공부 본능이란)

 

이해를 돕기 위해 표로 내용을 정리해서 본문에 있는 내용을 명확하게 다시 이해할 수 있었는데 마치 학생으로 돌아간 듯 외우려 하는 모습에 흠짓 하기도 했다.

 

저자는 사서를 과감히 문 한짝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가 구상하고 있는 또 하나의 문짝은 어떤 무늬를 가지고 있을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