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핑 포인트 - 작은 아이디어를 빅트렌드로 만드는
말콤 글래드웰 지음, 임옥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지인들이 추천하던 '아웃라이어'를 읽은 후 말콤 글래드웰의 책을 한번 더 읽고 싶었다. 대부분 문학만 읽는 나에게도 비문학을 읽으면서 재미를 느끼게 해준 몇 안되는 작가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나는 책을 고를 때 무엇보다 작가를 먼저 보게 되는데 나와 생각이 같아 공감하게 만드는, 또는 나의 생각을 설득할 수 있는 그런 작가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작가를 만나게 되면 무조건적으로 책을 구입한다. 어쩌면 그런 생각에 이 책도 구입했을 것이다. 그래서 구입하고 나서야 이책이 마케팅 분야에서 꽤 유명한 책이란 것도 알게 되었다.

말콤 글래드웰은 나같은 마케팅에 문외한에게도 재미있게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을 해준다. 그래서 책의 내용을 어려워하지 않고 재미있게 읽어나갈 수 있었고 작가가 전하는 개념에 대해 대략의 틀은 세운것 같다. 

예를 들자면 나는 자전거가 너무 타고 싶었다. 그래서 A군과 함께 자전거를 구입했다. 나와 A군은 자전거를 타는 것이 도시에서 여가생활을 즐기기에도 좋고 건강에도 좋다고 생각한다. A군은 친구가 많다.(커넥터) A군은 B,C,D,E를 만나서 입소문을 내기 시작한다. 그 중 B는 오래전부터 자전거를 탔고 자전거 타기가 유익하다는 것을 C,D,E에게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메이븐) 아직 넘어오지 않은 E에게 또다른 친구인 F는 자신과 함께 자전거를 타자며 E를 설득한다.(세일즈맨) -소수의 법칙

이들은 이야기를 하던 중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퇴근하는 시간보다 자전거도로로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는 것이 시간이 더 절약된다는 것을 알게된다 -고착성의 법칙

이들은 자전거 판매점을 가게 되고 살까말까 우물쭈물 하던 사이 경쟁자가 나타나 관심있게 보던 자전거를 사려고 하자 얼른 결재를 해버린다.-상황의 법칙

호호... 자전거에 빠진 내가 최근 일어난 일로 이법칙에 끼워 놓은 실례.  

재미있게 읽은 책은 맞지만 솔직히 아웃라이어를 읽으며 느꼈던 만족감은 덜했다. 너무 쉽게 읽히다 보니 깊이감 없이 책을 술술 읽은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두리뭉실하게 내 생각에 틀을 잡는 것 같으나 구체적이지는 않은....그런 아쉬움이 남았다. 다시 한번 읽게 되면 그런 찝찝함은 덜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다시 손에 잡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다.

* 책의 기본 개념들

티핑포인트란 예기치못한 일들이 갑자기 폭발하는 바로 그 지점을 일컫는다고 한다. 티핑포인트는 유행의 출현, 알려지지 않았던 책이 갑자기 베스트셀러가 되는 극적인 전환, 자살신드롬 등 비지니스와 우리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이해하기 어려운 한순간의 변화를 사회적 '전염'의 틀로 분석한다. 이 책은 누가 어떻게 티핑포인트를 만드는지, 아이디어와 제품은 어떻게 뜨게 되는지 상세하게 설명한다.

 

티핑포인트의 3가지 법칙

1.소수의 법칙: 80:20의 원칙은 어떤 상황에서든지 대개 '작업'의 80%는 참여자 20%에 의해 수행된다는 개념이다. 전염에서는 이러한 불균형이 더욱 극단적으로 나타난다. 극소수의 사람들이 대부분의 일을 저지르는 것이다.

2.고착성 요소: 고착성 요소는 전염되는 메시지를 기억하도록 만드는 특수한 방식이다. 정보를 제시하거나 구조화할 때 작지만 고착성이 강한 변화만 주어도 엄청나게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3.상황의 힘: 상황과 조건과 이런 것들이 작용하는 특수한 상황에 강한 영향을 받는 것이 전염이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인간의 행동은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인간 행동이 훨씬 더 암시에 걸리기 쉽다는 점을 말해준다.

 

소수의 법칙에 관련한 사람들 - 누가 일을 저지르고 티핑포인트를 작용하게 하는가?

1.커넥터: 일명 마당발이다. 주변에 아는 사람들이 많고 그 사람들에게 입소문을 내는 사람이다.

2.메이블: '지식을 축적한 자'로서 커넥터의 입소문에 타당한 이유를 들어 사람들에게 조언을 해주는 사람이다. 전염을 부추기는 사람이라 할수있다.

3.세일즈맨: 커넥터와 메이블에 의해서도 마음을 바꾸지 않은 의심이 많은 사람들을 설득하는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