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 켄이치전설 9
히가시무라 아키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작가가 매너리즘에 빠지고 있는 것 같다. 왜 갈수록 재미가 없어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와이쥬엠 야규인법첩 11 - 완결
야마다 후타로 글, 마사키 세가와 그림 / BB코믹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귀참십장, 바질리스크에 이어 야마다+마사키 콤비의 3번째 작품이 완결되었다. 

배경CG는 아직도 그리 자연스럽지 않지만 귀참십장 시절의 미숙한 그림체는 상당 부분 탈피하였다. 

바질리스크의 뛰어난 완성도에 비하면 스토리가 다소 미흡한 감은 있지만 11권에 이르는 짧지 않은 분량을 비교적 긴장감있게 끌고 나간 점을 높이 살만 하다. 

폭력적인 그림에 부담감이 없다면 추천하고 싶은 만화. 

조만간 애니메이션으로도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성곤 교수의 영화 에세이 - Essays On Film
김성곤 지음 / 열음사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김성곤 교수의 영화에세이의 초판은 1994년에 발간되었고 쇄를 거듭했지만 판의 변화는 없었다. 이 책은 2판 1쇄로 명기되어 있지만 내용은 초판과 전혀 다르지 않다. 책 표지의 디자인이 바뀌고 사소한 오탈자가 수정된 정도로, 저자의 가필은 전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구판을 가지고 있으면서 새 책인 줄 알고 구입하려는 독자가 있다면 그럴 필요가 없다고 미리 알리고자 한다

나는 이 책을 대여섯 번 정도 구입한 것 같다. 몇 권은 선물로 그리고 몇 권은 내가 읽으려고 구입하였으나 번번이 이 책은 내 손에 머무르지 않았다. 그래서 몇 번을 반복해서 읽은 책이지만 이번에 다시 구입을 하게 된 것이다. 

지금은 각종 영화평론이 넘쳐나지만, 이 책이 나올 무렵에는 영화에 대한 '평론'은 온전히 업계 관계자의 몫이었다. 외국 평론가의 감상평을 번역해서 내기에도 급급했던 시절이었고, 국내 영화 평론가들의 수준은 인상 비평에 머무르거나 영화 내용과는 별 관련이 없는 감독과 배우의 신변잡기 소개에 그치고 있었다. 

김성곤 교수의 영화 에세이는 그 시절에 '영화도 텍스트가 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한국에 퍼뜨린 시발점이다. 

이 책에 소개된 영화들은 모두 훌륭하고, 이 영화를 읽는 김성곤 교수의 눈도 참으로 예리하다. 이미 15년이 지나 다시 읽는 책이지만 읽어도 또 새롭다. 좋은 평론은 시의성에 의존하지 않고 시대와 공간을 넘어 항상 새로운 메시지를 독자에게 전달한다. 

영화에 관심이 없더라도 텍스트를 대하고 분석하는 태도를 익히기에 아주 좋은 책이다. 

이 책의 옥의 티를 집어내자면 영화 제목 등에서 몇 군데의 오역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람보 시리즈의 1편 'First Blood'를 '처음 흘린 피'로 번역한 등이다. 이 말은 우리 말로 하자면 '선빵' 정도로 번역해야 한다. draw first blood가 먼저 주먹을 날려 싸움을 시작하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람보의 싸움이 퇴역 군인인 람보가 시작한 것이 아니라 경찰로 표상되는 국가의 권력이 먼저 시비를 걸었기 때문에 그의 싸움은 불가피했다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인 김성곤 교수가 이런 오역에 대해 상당히 민감하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이것은 제법 아이러니다. 하지만 이런 사소한 오역이 이 책의 가치를 떨어뜨리지는 않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이드 2009-01-28 18: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름 헐리우드 키드였던 고등학교 시절이 떠오르네요. 아, 새로 나왔군요. 저도 구판으로 있습니다.

Engarde 2009-01-28 18:25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이 황량한 벌판에도 찾아오는 분이 계시군요
 
디케의 눈
금태섭 지음 / 궁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 일간신문에 '검찰 조사 제대로 받는 법'을 연재하다가 단 1회로 그치고 자의 반 타의 반으로 검찰을 그만두게 된 금태섭 변호사의 법률 에세이다. 

아래 몇 건의 평을 읽으니 이상하게 점수가 박하다. 별 하나를 준 사람도 있고... 

금태섭 변호사의 이 책은 객관적으로 읽을만하다. 

알기쉬운 법률상담 류의 실용법학서가 아니라 현직에 있으면서 느끼는 소회와 다양한 법률 사례들을 소개하는 책이니만큼 실제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도로 이 책을 선택했다면 실망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법치국가(과연 지금의 한국이 법치국가인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만)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법률에 대한 소양을 쌓기 위한 의도로 이 책을 읽는다면 분명 얻는 것이 있으리라 확신한다. 

각 편의 모두에 실린 유명한 저작의 인용도 괜찮고 글의 호흡도 무리가 없다. 

공정하게 평가하면 별 4개 정도의 책이지만, 다른 사람의 과도한 폄훼를 벌충하는 의미에서 별 5개를 부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트레이트 온더락 1 - 환상의 명주
후루야 미쓰토시 글.그림, 권남희 옮김 / 김영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이 만화는 80년대에 일본에 소개된 만화다.

20년이나 묵은 만화가 이제야 한국에 소개된 것은 역시 소재에 기인한 탓이 클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어느 수준에 올라야 사람들이 마실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보통 그 수준을 국민소득 2만 달러로 보고 있다.

한국에서 와인 열풍이 발생한 것과 때맞추어 여러 종류의 술 만화가 등장하였다.

이 중 와인을 전문으로 다룬 만화를 제외하면 '스트레이트 온 더 락'과 '바텐더' 정도를 서양 술 전반에 관한 만화로 볼 수 있겠다.

바텐더가 술을 둘러싼 드라마에 비중을 두고 있다면 '스트레이트 온 더 락'은 정보의 전달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일본의 옛날 시사만화 풍 그림체가 정겹다.

내용이 훌륭하고 권남희씨의 번역도 좋지만, 이런 종류의 만화들이 왜 이렇게 비싸야 하는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다.

그래서 별 하나를 차감해서 별 네 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