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향기 - 머무름의 기술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의 피로사회는 시간 자체를 인질로 잡고 있다. 이 사회는 시간을 일에 묶어두고, 시간을 곧 일의 시간으로 만들어버린다. 일의 시간은 향기가 없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일의 시간 외에 다른 시간이 없다. 쉬는 시간도 다른 시간이 아니다. 쉬는 시간은 그저 일의 시간의 한 국면에 지나지 않는다. 일의 시간은 오늘날 시간 전체를 잠식해버렸다. 우리는 휴가 때뿐만 아니라 잠잘 때에도 일의 시간을 데리고 간다. 그래서 우리는 잠자리가 그토록 편치 못한 것이다. 지쳐버린 성과주체는 다리가 마비되는 것처럼 그렇게 잠이 든다. 긴장의 이완 역시 노동력의 재충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일의 한 양태에 지나지 않는다. 이른바 느리게 살기도 다른 시간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그것 역시 가속화된 일의 시간이 낳은 결과일 뿐이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견해와는 달리, 느리게 살기는 오늘날 당면한 시간의 위기, 시간의 질병을 극복할 수 없다. 느리게 살기 운동은 증상일 뿐이다. 증상으로 병을 치료할 수는 없다. 오늘날 필요한 것은 다른 시간, 일의 시간이 아닌 새로운 시간을 생성하는 시간 혁명이다. 시간에 향기를 되돌려주는 시간 혁명.)


맵시 있는 서문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레사 2015-12-28 1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득...우리의 시간에 대해 의문하게 되네요. 사실 꿈에서조차 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지요.

테레사 2015-12-28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문득...우리의 시간에 대해 의문하게 되네요. 사실 꿈에서조차 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지요.
 
상대성 이론이란 무엇인가? 민음 바칼로레아 9
프랑수아 바누치 지음, 김성희 옮김, 곽영직 감수 / 민음인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민음 바칼로레아 가운데 처음으로 읽었는데, 책은 얇고 내용은 간결하게 상대성이론을 다루고 있다. 이 시리즈의 다른 책들도 읽어볼만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왕좌의 게임`이라니. 세트 이름이 너무 웃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확정성 - 양자물리학 혁명의 연대기
데이비드 린들리 지음, 박배식 옮김 / 시스테마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잘 쓰여진 책이다. 몇 년에 걸쳐 읽었다. 과학 설명이 짧은 게 아쉽긴 하지만 양자역학의 역사와 해석에 대한 과학 철학적 물음까지 잘 담아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슬람 학교 세트 - 전2권 - 이희수 교수의 종횡무진 이슬람 강의록 이슬람 학교
이희수 지음 / 청아출판사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슬람이 궁금해 책을 찾다가 이희수 교수가 쓴 <이슬람 학교>를 읽기 시작했다. 전에 이희수 교수가 쓴 여행기는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는데, 이 책은 재미있을 뿐더러, 새롭고 놀라운 사실들을 많이 배우게 된다.


아래는 몇 가지 내용들


이슬람 세계

이슬람 인구는 얼마일까? 공식 통계로는 16억 명. 이슬람을 국교로 하는 나라는 57개. 단일 종교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다. 두 번째가 가톨릭이고, 세 번째가 개신교, 네 번째가 불교다. 가톨릭과 개신교를 더하면 기독교가 이슬람보다 많다. (이슬람학교 1권, 이희수)


아랍어

아랍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아랍 국가는 22개다. 중동에서 아랍어를 쓰지 않는 나라는 이란, 터키, 이스라엘, 세 나라다. 이란은 언어로는 인도-유럽어족이고, 인종으로는 캅카스계 백인이다. (이슬람학교 1권, 이희수)

중동 동쪽 끝은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고, 서쪽 끝은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이다. 카사블랑카에서 두바이까지 거리가 육로로 6천 킬로미터 정도다. 아랍 22개 국가가 서로 말이 통할까? 완벽하게 통한다. 어떻게 말이 완벽하게 잘 통할까? 

첫 번째는 꾸란이다. 꾸란은 14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점 하나 획 하나 변하지 않고 내려오는 아랍어 표준 텍스트다. 아랍 사람들은 꾸란으로 하루 다섯 번씩 예배 본다. 두 번째는 '알 자지라'나 '알 아라비아' 같은 아랍어 글로벌 위성 채널 덕이다. (이슬람 학교 1권, 이희수)

우리나라 대입 수학능력 시험에서 제2외국어로 아랍어가 있다. 아랍어 학과가 있는 대학교는 한국외국어대, 부산외국어대, 명지대, 조선대 4개다. (이슬람 학교 1권, 이희수)


이란

이란과 아랍은 다르다.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르고, 종족도 다르고, 역사 배경도 다르다. 한국과 일본의 차이보다 더 다른 나라들이다. 이란 사람을 만나 아랍 사람이냐고 물어보면 굉장히 기분 나빠한다. 모멸감을 느끼는 수준이다. 이란 사람들은 자신을 아랍 사람으로 취급하는 걸 견디지 못한다. (이슬람학교 1권, 이희수)


이슬람 인구 70%는 아시아에

깜짝 놀랄만한 내용이다. 이슬람교를 믿는 인구 가운데 아랍이 차지하는 비중은 1/4 밖에 안된다고 한다. 나머지 70%의 인구가 아시아에 있다.

인구수로 보면 세계 최대 이슬람 국가는 인도네시아다. 약 2억 5천만명 정도 된다. 두 번째로 많은 데가 인도다. 인도는 약 1억 8천만명. 파키스탄이 1억 7천만명, 방글라데시가 1억 6천만명. 터키와 이집트, 이란이 약 8천만 명. 

중앙아시아도 이슬람이다. '-스탄'이 붙은 나라들,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에 아제르바이잔까지 중앙아시아 전역이 이슬람화 되어 있다. (이슬람학교 1권, 이희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