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기원 - 리처드 리키가 들려주는 최초의 인간 이야기 사이언스 마스터스 4
리차드 리키 지음, 황현숙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모 에렉투스에 관한 몇 가지 사실들

호모 에렉투스는 불을 사용한 최초의 사람종이었다. 사냥을 생존의 중요 수단으로 삼은 최초의 사람종이며, 현생 인류처럼 달릴 수 있는 최초의 사람종이었다. 머릿속에 가지고 있던 일정한 틀에 따라 석기를 만든 최초의 사람종이며, 아프리카 너머까지 생활 무대를 넓힌 최초의 사람종이었다.

우리는 호모 에렉투스가 어느 정도의 구어를 사용했는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지만, 몇몇 분야의 증거는 구어가 있었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이 종이 어느 정도로 사람과 같은 자의식을 가졌는지는 밝혀지지 않았고, 앞으로도 영원히 알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분명 그들이 의식을 가졌으리라고 생각한다. 구태여 말할 필요도 없지만, 호모 사피엔스의 가장 큰 특징인 언어와 의식은 선사 시대의 기록에 아무런 흔적도 남겨 놓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닐 슈빈이 쓴 책이라면 꼭 읽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차원이란 무엇인가? - ‘0차원의 세계’에서 ‘고차원 우주’까지 뉴턴 하이라이트 Newton Highlight 28
일본 뉴턴프레스 엮음 / 아이뉴턴(뉴턴코리아)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흥미롭고 재미있다. 쉬운 내용부터 어려운 내용까지 잘 담겨 있다. 다시 읽어봐야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디언밥 2015-08-31 2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띠용
 

김정운 교수는 <에디톨로지>를 읽다가 <피로사회>를 언급한 부분을 만났다. 그는 한병철의 책, <피로사회>가 간결하게 핵심을 찌르고 있다고 말한다.


미국식 심리학주의의 본질을 이토록 정확하게 분석한 글은 처음이다. 내가 그동안 그렇게 하고 싶었지만, 그저 입가에만 맴돌던 바로 그 이야기를 한병철 교수는 128페이지에 불과한 <피로사회>라는 짧은 책에서 칼로 밴 듯한 간결함으로 서술한다.


포스트모더니티의 핵심을 한병철 교수는 '피로사회'라고 규정한다. 근대 후기의 성과 사회는 각 개인을 끊임없는 자기 착취의 나르시스적 장애로 몰아넣는다. 타인에 의한 착취가 아니라 '자발적 자기 착취'다. 끊임없이 발전해야 한다는 일원론적 발달과 성장에 대한 강박으로 인해 주체는 죽을 때까지 안정된 자아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런 후기 근대적 주체의 미완결적 성격은 자신을 태워버리는 '번아웃'과 우울증으로 이어진다.


프로이트적 억압은 타율적 규율 사회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부정성'이다.  슈퍼에고의 본질은 사회적 규율의 내면화다. '~을 해서는 안 된다' '~을 해야만 한다'는 타율적 규제, 억압, 강제로 인해 주체는 끊임없이 불안함을 느낀다. '독일식 개인'의 모습이다. 반면 주체의 자율성이 극대화된 성과 사회의 본질은 '긍정성'이다. '노력하면 무엇이든 이룰 수 있다'는 '미국식 개인'이다. 미국식 개인에게 나타나는 능력의 무한 긍정은 독일식 개인의 금지와 당위의 부정성보다 훨씬 더 위협적이고 위험하다는 것이 한병철 교수의 주장이다. 끝 모르는 자기 착취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김정운, <에디톨로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올리버 색스 지음, 조석현 옮김 / 이마고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2015년 8월 팟캐스트 <과학책이 있는 저녁>에서 장대익 교수가 추천했다. 같은 달 <빨간책방>에서도 소개하고 있다. (그 덕에 2015년 8월 현재, 과학책 판매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이하고 신비로운 일화들이 많이 담겨 있다. 잠시 멈추었던 책을 다시 꺼내 읽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레사 2015-08-31 12: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책..거의 소설같은 제목이어서 강남의 씨티문고에서 샀던 기억이 납니다. 오래 전일이지요. ...인간의 뇌는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어떤 것이란 생각을 하기도 했더랬지요. 올리버 색스는 작년에 작고하였던가, 그렇지요?

boooo 2015-08-31 13:36   좋아요 1 | URL
어제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암에 걸려 몇 개월 살지 못한다며 쓴 글이 참 인상 깊었어요. 그의 책들을 조금씩 읽어보러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