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an Huygens(1629~95)

네덜란드어에서 'g'라는 철자는 우리말로 'ㅎ'소리에 가깝다. 따라서 굳이 따지자면 화가 Van Gogh는 '반 고흐'보다는 '판 호흐'가, 역사학자 Huizinga는 '호이징가'보다는 '호이징하' 또는 '휘이징하'가, 그리고 화가 Bruegel은 '브뢰겔'보다는 '브뢰헐'이, 축구팀 감독 Guus Hiddink는 '거스 히딩크'가 아닌 '휘스 히딩크'가 더 옮다. 물론 이미 굳어진 말을 다시 고쳐 읽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몇 가지 네덜란드어의 번역에서는 가급적 네덜란드 발음을 따라 옮기려 하였다. 그래서 Huygens는 '호이겐스'가 아니고 '호이언스'로, 제5장에 나오는 벨기에인 Keverberg는 '케버버흐'로, 케틀레가 태어난 벨기에의 유서 깊은 도시의 이름 Ghent는 '헨트'로 옮겼다. [통계학의 역사, 한길사]


* 위키백과에서는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로 표기한다.



우리나라에 외래어 표기법이 있으나, 원어 발음과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외래어 표기법과 다르더라도 원어 발음에 가깝게 표기하기를 좋아하는 저자도 있다. <온도계의 철학>과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를 쓴 장하석 교수는 과학자 이름과 지명을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Bentham 벤땀 (제러미 벤담)

Cavendish 캐븐디쉬 (헨리 캐번디시)

Dalton 돌튼 (돌턴)

De Luc 들룩 (데루크)

Eddington 에딩튼 (에딩턴)

Lavoisier 라봐지에 (라부아지에)

Medawar 메다와 (메다워)

Neurath 노이랏 (노이라트)

Newton 뉴튼 (뉴턴)

Norfolk 노폭 (노퍽)

Schrodinger 슈뢰딩어 (슈뢰딩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6-16 1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현재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면 `호이겐스`는 `하위헌스`, `헨트`는 `겐트`로 씁니다. 그래도 저는 호이겐스가 익숙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