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맹 가리, 그가 늘 궁금했다. 전기를 읽으며 그의 삶을 좇는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레사 2015-07-28 1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맹가리라...로맹가리는 단편부터 몇개의 장편까지 제법 안다고 생각했는데..부우(?)_님의 글을 보니, 아하..나는 로맹가리를 아는가 싶은 생각이 문득 드네요..
작가를 작품이 아닌 인간으로서 가지는 궁금증인가요? 아니면 작품을 보고 도대체 이런 작품을 쓰는 존재란 어떤 이인가?하는 작품의 연장선에서 가진 궁금증인가요?
저는 솔직히 작가는 작품으로만 말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지라....가끔은 작가에 대해 일부러 모른체하기도 합니다...이상한 관습이죠?

boooo 2015-07-28 16:01   좋아요 0 | URL
아닙니다. ^^ 좋은 말씀이에요. 작가는 작품으로 이야기해야 하죠. 저도 공감해요. 그런데 간혹 정말 이 사람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궁금해지는 사람이 있어요. 콩쿠르 상을 받을 정도로 유명한 작가가 자신의 이름을 감추고, `에밀 아자르`란 필명으로 작품을 발표해, 유일하게 콩쿠르 상을 두 번 받은 거 하며, 자살로 삶을 마칠 때까지 그 사실을 밝히지 않은 거 하며... 궁금한 생각이 들더라고요. 물론, 로맹가리 작품을 좋아하기도 하고요 ^^

Qs 2015-10-15 2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회사 맞은편에 앉아계시지만 말 한마디도 안해본 부장님과 책 이야기로 30분을 이야기 했던 기억이 있네요. 최근엔 로맹가리의 `페루....`를 읽고 있다고 하니 마침 부장님 책꽂이에도 있었던.. 아직 어린데 `페루..`의 감성을 이해하겠냐고. 자신은 40대가 들어서야 좀 이해가 된다고 하셨었는데, 그 이야기를 듣고 내가 과연 제대로 읽은게 맞나. 텍스트만 읽은거였나 싶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