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
홍신자 외 지음 / 판미동 / 2025년 3월
평점 :

#도서제공
p.108 일상을 살아가는 중에 일어나는 모든 행위와 만남을 머리로 사고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가슴으로부터 연결해서 시작과 끝을 맺어야 한다.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은 현대무용가 홍신자, 그분의 배우자이자 독일 최초의 한국학자 베르너 사세, 『깊은숨』, 『차문디 언덕에서 우리는』으로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던 김혜나 작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세 사람이 인도 오로빌을 함께 걸으며 나눈 이야기를 엮은, 너무나도 다정하고 상냥한 에세이 속으로 독자는 금세 빠져든다.
김혜나 작가가 연인과 헤어진 이야기, 홍신자와 사세 부부가 말하는 결혼과 삶,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가치관을 나누는 대화 속으로 스며들어 오로빌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독자도 그들의 여정에 동참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나는 한국에서 내 책상에 앉아 이 책의 페이지를 넘기고 있을 뿐인데 마치 폰디체리 시내를 함께 산책하고, 와추 풀장의 물 속에 같이 들어가 있는 기분이 된다.
p.235 지금 당장의 현실에서는 두려움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는 바로 지금 여기의 현실만 보면 된다.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에는 세 사람의 삶의 철학, 삶을 바라보는 가치관과 지혜로운 연륜이 가득 들어 있다. 문장 하나하나를 읽으며 울기도 하고, 공감하거나 마구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때로는 너무 벅차올라서 페이지를 덮고 한참 명상을 하다가 도로 책으로 돌아간 적도 있었다. 어떻게 살아야 사람이 이렇게나 지혜롭고 아름답게 나이먹을 수 있을까? 이 책은 지치고 길을 잃은 청춘들에게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잘 사는 것인지, 어떻게 살아야 후회하지 않고 살 수 있을지 다정하게 속삭여준다.
모두가 지나온 과거를 후회하거나, 다가오지 않은 미래를 두려워하면서 살아간다. 그러나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에서 홍신자 선생님은 그 두려움의 ‘실체’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정말로 두려워할 것은 육신의 죽음이 아니라, 그 두려움을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마주볼 노력도 하지 않는 것, 즉 정신이 죽어 있는 상태라는 것을. 왜 지금껏 과거나 미래만 붙잡고 살아왔을까? 가장 중요한 현재를 똑바로 볼 생각은 왜 하지 못했을까? 『우리가 다른 삶에서 배울 수 있다면』에는 그런 삶의 지향점이 녹아 있다.
내가 걸어가고 있는 길에 대한 확신이 없을 때, 나보다 앞서 살았던 사람들이 내가 제대로 가고 있는지 말해줬으면 싶을 때 몇 번을 읽어도 시간이 아깝지 않을 책이다. 한 살이라도 더 젊을 때 이 책을 읽는다면 삶을 대하는 태도가 완전히 바뀔 것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우리가다른삶에서배울수있다면 #홍신자 #베르너사세 #김혜나 #판미동 #민음사